1분기 매출액 전년比 18.2% 감소…영업이익은 46%↓
[미디어펜=이동은 기자]친환경·에너지기업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SK에코플랜트가 올해 1분기 다소 아쉬운 성적을 거뒀다. 국내외 주요 프로젝트가 마무리되면서 매출이 줄고 원자재값·인건비 상승 영향 등으로 영업이익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다만 계열사 반도체 프로젝트 등 건설 공사를 비롯해 환경·에너지 사업이 본격화되면서 2분기부터는 매출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다.

17일 SK에코플랜트에 따르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1조 2706억원, 영업이익은 46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1분기보다 각각 18.2%, 46.0% 줄어든 수치다.

SK에코플랜트는 상장 준비를 위해 이번 1분기부터 회계기준을 기존 일반기업회계기준(K-GAPP)에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으로 변경했다. 다만 이미 일반기업회계기준 제16장 '수익'에 따른 진행기준 수익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재무상태나 경영실적에 큰 영향은 없다는 설명이다.

   
▲ SK에코플랜트 1분기 사업부문별 매출액./자료=SK에코플랜트 분기보고서
SK에코플랜트 부문별 매출액은 △환경 1171억원 △에너지 165억원 △솔루션(플랜트, 건축·주택, 인프라) 1조 1369억원이다. 환경 부문 매출액은 지난해 1분기(977억원)보다 20% 증가했지만, 에너지와 솔루션 부문은 각각 88.7%, 13.2% 감소했다.

SK에코플랜트는 “터키 차나칼레 대교, 고성그린파워 발전소 등 국내외 프로젝트가 마무리되면서 매출액이 일시적으로 감소했다”며 “여기에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여파, 인건비 등 일회성 비용이 반영되면서 영업이익도 줄었다”고 밝혔다.

1분기에는 다소 부진했지만, SK에코플랜트는 올해 매출액이 8조원을 돌파하고 영업이익은 지난해보다 2~3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신규 SK하이닉스 프로젝트와 수소 연료전지 수주 물량이 반영되고, 삼강엠앤티와 테스(TES) 인수 절차도 마무리되면서 자회사 실적에 반영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SK에코플랜트가 시공을 맡은 SK하이닉스의 1조 1629억원 규모 M16 PH-2 프로젝트와 4260억원 규모 M15 Ph-2 프로젝트는 각각 지난해 6월과 8월에 착공했다. 

SK에코플랜트는 올해 단행한 플랜트 부문 분할로 외형은 축소되지만, 환경·에너지 부문 사업 다각화를 통해 이를 보완하고 수익성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SK에코플랜트는 지난 2월 배터리, 수소, 리튬이온전지 분리막 등 일부 플랜트 사업을 물적분할해 자회사 SK에코엔지니어링에 흡수합병하고 지분 50.001%를 매각했다. 분할된 사업 부문은 지난해 별도기준 SK에코플랜트 매출액의 약 25%를 차지했다.

한국신용평가는 최근 회사채 평가 리포트에서 “연간 1조원을 상회하는 계열 공사 물량이 이탈하면서 건설사업 외형 축소가 불가피하다”면서도 “보유 수주 잔고와 계열 반도체 공사 수요 확대를 바탕으로 일정 수준의 사업기반을 유지하면서 환경, 연료전지 등으로의 사업 다각화를 통해 건설사업 위축 영향을 보완할 전망이다”고 말했다.

SK에코플랜트 관계자도 “환경시설관리와 볼트온 전략에 맞춰 인수한 환경기업들의 실적 개선이 점차 본격화되고, 수소연료전지 등 에너지사업도 실적에 반영될 예정이다”며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리모델링, 데이터센터 등 기존 건설 분야에서도 매출 성장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 SK에코플랜트 IFRS 연결기준 부채비율./자료=SK에코플랜트 제공
SK에코플랜트는 부채비율 등 재무안정성 개선을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다. 공격적인 환경·에너지기업 인수·합병으로 대규모 자금이 소요되고 차입금이 늘어나면서 부채비율과 재무부담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부채비율은 2020년말 659%, 2021년말 573%에 달했지만, SK에코엔지니어링의 상환전환우선주 매각으로 4500억원을 확보하면서 1분기말 362%로 개선됐다. 여기에 SK에코플랜트는 2분기 중 프리IPO로 6000억원 규모의 전환우선주와 4000억원 규모의 상환전환우선주 발행을 추진하고 있다.

SK에코플랜트 관계자는 “환경·에너지 기업으로 포트폴리오를 과감히 전환함에 따라 일시적으로 부채비율이 증가했다”며 “하이테크 엔지니어링 사업 부문 매각을 통한 현금 유입과 약 1조원 가량의 자본 확충, 그리고 환경·에너지 사업의 이익 창출 등을 통해 올해말 기준 부채비율은 300% 초반 수준으로 개선될 전망이다”고 밝혔다.
[미디어펜=이동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