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크로(거시경제) 불확실성에 중국 봉쇄로 인한 실적 부진 겹쳐
[미디어펜=홍샛별 기자] 이달 초까지만해도 야외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로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았던 화장품주가 기대와는 달리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매크로(거시경제) 여건이 여의치 않은 데다 중국 봉쇄 등으로 인한 실적 부진까지 겹친 영향으로 풀이된다. 

2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화장품주의 주가는 이달 들어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화장품 대표주’ LG생활건강은 이달 첫 거래일 91만 1000원으로 장을 종료한 이후 곧바로 80만원대로 주저앉았다. 12일에는 전장 대비 14.80% 폭락하며 69만 1000원으로 거래를 종료했다. 이후 주가는 60만원대에 머물고 있다. 5월 한 달 동안(20일 종가 기준) 하락률은 24.80%에 달한다.

   
▲ 이달 초까지만해도 야외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로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았던 화장품주가 기대와는 달리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아모레퍼시픽도 2월 중순 19만원에 거래됐지만, 꾸준히 하락했다. 이달 첫 거래일 17만 9000원이던 주가는 지난 20일 15만 3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 기간 14.24% 하락한 셈이다. 

코스맥스도 상황은 비슷하다. 이달 초 8만 5100원이던 주가는 20일 6만 4400원으로 24.32% 폭락했다. 

마스크 해제로 시장의 기대감을 한몸에 받았던 이들 화장품주의 부진 원인으로는 예상치를 밑도는 실적이 꼽힌다. 

실제 LG생활건강의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9.2% 줄어든 1조 6450억원, 영업이익은 52.6% 감소한 1756억원을 기록했다. 시장이 기대하던 영업이익(3380억원)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아모레퍼시픽 역시 1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보다 7.0% 줄어든 1조 1650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0.4% 감소한 1580억원이라고 발표했다.

코스맥스도 1분기 연결 매출 3979억원, 영업이익 137억원으로 시장 기대치(영업이익 250억원)에 크게 못 미치는 어닝쇼크를 기록했다.

이들 기업의 어닝쇼크 배경으로 지목되는 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확산으로 인한 중국 정부의 봉쇄 조치다. 최대 수출국인 중국이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전면 봉쇄(락다운)를 단행하면서 매출이 쪼그라들었기 때문이다. 

문제는 중국 봉쇄 등 대외적 환경 개선 여부가 여전히 불확실하다는 데 점이다. 향후 전망을 마냥 낙관하기 어려운 이유도 여기에 있다. 중국 상하이시의 경우 코로나19 재확산이 없다면 다음 달 1일부터 봉쇄를 전면 해제하겠다고 밝혔지만, 시장 정상화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 

여기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간 전쟁이 장기화 되면서 화장품의 주재료인 팜유 가격이 급등세를 보이고 있는 점도 우려를 키운다. 다만 최근 화장품 업체들이 북미시장 등 새로운 시장 개척에 나서는 점은 긍정적인 요소로 꼽힌다.

박종대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최근 주요 업체들의 미국과 일본 수출 비중이 커지고 있는 것은 긍정적”이라면서도 “여전히 중국 의존도가 워낙 높기 때문에 중국 부진을 극복하는 데 한계는 있다”고 설명했다.

박 연구원은 이어 “중국 매크로 문제와 원가율 상승 부담이 해소된다면 아모레퍼시픽과 코스맥스, 한국콜마, 클리오의 펀더멘탈 개선이 부각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망했다. 

안지영 IBK투자증권 연구원도 “화장품 업종은 국내 채널에서 리오프닝 수혜를 반영하고 있어도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실적 훼손이 2분기에도 지속될 전망”이라며 “일부 상업기능 정상화 등으로 중국 모멘텀이 회복될 것이란 기대감도 있지만 정상화를 확실히 확인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미디어펜=홍샛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