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집값 폭등 및 코로나19 경제적 여파, 이유로 꼽혀
농식품부 “농업을 유망직업으로 생각하는 30대 늘고 있어”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지난해 귀농·취촌인구가 전년대비 4.2% 증가하면서 통계조사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30대 이하 귀농인이 큰 폭으로 증가해, 정부가 안정적인 농촌 정착을 위한 지원 강화에 나서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2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2021년 귀농·귀촌 인구는 51만5434명으로 2020년에 이어 2년 연속 증가세를 나타냈다고 밝혔다. 또한 귀농·귀촌 가구도 37만7744가구로 전년 대비 5.6% 증가했다. 

   
▲ 귀농귀촌 단지 조감도./사진=한국토지주택공사 제공


이러한 귀농·귀촌 인구 증가세와 관련, 정현출 농업정책국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사회·경제적 여파와 도시주택 가격 급등으로 인한 ‘밀어내기 효과’를 이유로 꼽았다.

이날 발표에 따르면, 전 연령대에서 귀농·귀촌 가구가 증가했다. 특히 30대 이하 및 60대 귀농귀촌 가구는 전년에 비해 각각 5.0%, 16.4% 증가하며 큰 폭으로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

30대 이하 귀농·귀촌 인구는 23만5904명으로 전체의 45.8%를 차지하며 지난해에도 귀농·귀촌 흐름을 주도했다.

지난해 통계청이 조사한 국내 인구이동량은 721만 명으로 전년(773만 명) 대비 52만명이 감소했음에도 귀농·귀촌 증가세가 유지된 것은 농촌으로의 이주 흐름이 견고해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1인 가구 비중은 지속 증가하고 있으며, 귀농 초기 무리한 투자보다는 적정규모로 영농을 시작하고 겸업을 선택하는 ‘신중한 귀농’ 경향 역시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 국장은 “청년농 증가는 청년들의 농촌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영농정착지원사업(3년간 월 최대 100만원)의 정책 성과 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며 “60대의 귀농 증가는 도시 거주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의 본격 은퇴가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된다”고 의견을 내놨다.

   
▲ 귀농 귀촌 인구 및 가구 현황./자료=농식품부

귀농인이 많은 상위 5개 시군은 의성(229명), 고흥(224명), 상주(212명), 영천(182명), 양평(173명) 순으로 집계됐다.

이들 지역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동일권역 내 또는 연고지 등 익숙한 곳 △영농 기반 마련이 쉬운 곳 △시·군의 정책 지원이 활발한 곳으로 귀농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지역으로 전입한 귀농인의 전(前) 거주지를 보면 인근의 대도시 또는 동일권역이 가장 많았는데, 의성의 경우 대구와 경북이 각각 53.4%, 18.5%로 전체의 71.9%를 차지했다. 

또한 해당 시·군의 농지가격도 타 지역에 비해 비교적 저렴해 영농 기반 마련 측면에서도 상대적으로 용이했다는 평가다. 

정 국장은 “일자리·주거 확보를 위한 귀촌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며 “주택을 귀촌 사유로 선택한 비율은 전년보다 0.6% 증가했으며, 젊은 층은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귀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귀촌 동기에서 주택을 고려하는 비중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통계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귀농·귀촌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보완·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는 체계적인 귀농·귀촌 준비 지원을 위해 농업·농촌의 일자리 경험, 모의 실행 체험 제공 기회를 확대한다. 농촌생활을 사전에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농촌에서 살아보기’ 프로그램을 88개 시군에서 올해 104개로, 도시민에게 영농교육과 함께 농업 일자리 탐색·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농업 일자리 탐색형 교육’ 규모를 전년대비 100명 늘린 6200명으로 확대한다. 

또 청년 귀농인이 안심하고 농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영농정착지원금 지원규모를 1800명에서 2000명으로 늘리고, 청년농의 준비-창업-성장 전 과정을 지원하는 ‘제1차(2023~2027) 청년농 육성 기본계획’을 올해 하반기에 수립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준비에서 정착’까지 전 과정에 필요한 정보·서비스를 일괄로 지원하는 ‘귀농귀촌 통합플랫폼’을 구축한다. 각 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의 정책, 농지·주거, 일자리 등 광범위한 정보·서비스를 관계 기관 시스템과 연계해 내년부터 본격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이외에도 올해 농촌재생프로젝트 신규 지원대상 21개 생활권을 추가 선정하고, 공간 정비 및 주거·정주 여건 개선 사업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정 국장은 “이번 귀농·귀촌 통계조사 결과를 면밀히 분석해 필요한 정책을 보완해 나갈 예정”이라며 “특히 최근에 농업·농촌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만큼, 귀농·귀촌을 희망하시는 분들이 체계적으로 준비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뒷받침해 나갈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도시민의 귀농·귀촌의향조사’ 결과 2019년 말 기준 34.6%에서 2020년 말 41.4%로 6.8%포인트 증가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