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서울시의 1인 가구의 비중이 점차 늘어 15년 뒤에는 부부와 미혼자녀 가구 비중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26일 서울시가 발간한 '통계로 본 서울 가족구조 및 부양변화' 자료에 따르면 올해 서울시내 가족의 33.6%는 부부와 미혼자녀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1인 가구(27%), 부부(13.5%), 한부모(10.5%), 조부모와 손자녀(0.7%)가 뒤를 이었다.

   
▲ 2030년 서울, '나홀로족' 가구 비중 30% 우뚝 관련사진/사진=MBC 나혼자산다 방송 캡처

그러나 부부와 미혼자녀 가구는 2000년만 해도 전체의 49.8%를 차지했으나 올해 33.6%로 줄었고, 추이를 감안하면 2030년에는 25.4%까지 낮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반면 1인 가구는 2000년에는 16.3%에 불과했으나 올해 27%로 늘었고 2030년에는 30.1%를 기록, 부부와 미혼자녀 가구보다 많아질 전망이다.

부부 가구는 2030년 17.9%, 한부모 가구는 11.2%, 조부모와 손자녀 가구는 1.3%까지 늘 것으로 예측됐다.

서울시는 4명 이상인 대가족이 줄고 1∼2명인 '미니 가정'으로 가족 규모가 축소되는 현상이 미혼·이혼·별거 증가와 저출산·고령화 때문으로 분석했다.

한편 노인 복지 확대를 위해 세금을 추가로 낼 의향이 있다고 답한 서울시민은 2007년 26.1%에서 2013년 37.3%로 늘었다고 서울시는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