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변하는 산업 환경 속 고용안정 공감대 현대차 노사
미래먹거리 절실한 르노코리아·한국지엠, 노사 갈등
[미디어펜=김태우 기자]올해 자동차업계 임단협에서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예상보다 빠른 잠정합의로 노사 화합을 기대할 수 있게 된 현대자동차와 달리 르노코리아와 한국지엠은 난항을 겪고 있다. 

파업권이 확보되는 등의 우여곡절 끝에 고용안정이라는 공감대로 잠정합의안을 도출한 현대차는 오는 19일 찬반투표를 통해 올해 임단협이 마무리 될 전망이다. 반면 르노코리아는 파업권 확보에 나섰고, 한국지엠 역시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 한국지엠 부평공장 생산라인. /사진=한국지엠 제공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사는 지난주 16차 교섭에서 어렵게 마련한 잠정합의안의 조합원 찬반투표를 19일 실시한다. 이날 투표에서 잠정합의안이 가결되면 현대차는 4년 연속으로 무분규 임단협타결이라는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 

현대차 노사의 이 같은 결과는 15차례의 협상을 진행해 오며, 양측 모두 미래경쟁력 확보와 고용안정이라는 중점으로 논의해온 결과라는 게 업계 중론이다. 초반 현대차 노조는 파업권을 확보하고 강경대응하는 모습도 보였지만, 파업보다 협상에 무게를 두고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 

현대차 노사의 잠정합의안에는 기본급 9만8000원(호봉승급분 포함) 인상, 경영성과급 200%+400만 원 지급, 국내 전기차 공장 신설 등이 포함됐다. 이와 별도로 현대차 노사는 자동차산업 전환기 대응과 국내공장 미래 비전, 고용안정 확보를 위한 '국내공장 미래 투자 관련 특별 합의서'를 마련하고 고용안정화를 위해 노력도 함께한다.

국내 자동차 산업의 맏형 역할을 하고 있는 현대차 노사의 이 같은 결정은 앞으로 다가올 자동차 산업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고, 이를 이겨내기 위해서는 노사의 협력이 절실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됐기 때문이다. 

반면 르노코리아와 한국지엠은 노사간 견해 차이가 커 문제를 해결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르노 노조는 이달 초 교섭 결렬을 선언하고 15일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 신청을 하며 파업권 확보 절차에 들어갔다. 르노 교섭에서 가장 이견이 큰 사안은 '다년 합의'다. 회사 측은 임단협 주기를 매년에서 다년으로 바꾸는 안을 노조에 제시했으나 노조는 반발했다. 

다만 업계에서는 파업권을 확보해도 실제 파업으로 들어가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르노코리아 노조가 파업으로 얻을 수 있는 것보다 잃을 것이 더 많기 때문이라는 판단에서다. 

무노동 무임금원칙을 적용하고 있는 르노코리아 노조가 파업에 들어가면 파업 기간 임금을 받지 못하게 됨은 물론, 노사화합수당 일부를 포기해야 한다. 

르노코리아 노사는 지난해 임금협상(임협)을 타결하면서 올해 말까지를 노사화합기간으로 정하고 노사화합수당을 분기별 15만 원씩 지급하는 데 합의했다. 이미 지난해 4분기부터 올해 3분기까지 도합 60만 원이 지급됐지만, 파업을 단행하면 4분기 초 지급이 예정된 마지막 15만 원의 수당을 받을 수 없게 된다.

   
▲ 지난 2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앞 광장과 세종대로 일대에서 2022 민주노총 전국노동자대회가 열리고 있다. /사진=김상문 기자

사측과 노사화합기간 설정에 합의해 놓고 파업에 나서는 게 명분상으로도 좋지 않다.

장기적으로는 회사의 재도약 플랜이 어긋날 경우 고용안정도 보장받을 수 없다. 르노코리아는 올 가을 XM3 E TECH 하이브리드와 2024년 신차 출시를 통해 그동안 부진했던 국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생산물량을 늘리겠다는 전략을 세워놓고 있다.

르노 노조 관계자는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 신청을 마친 상태"라며 "파업은 결정되지 않았다. 대의원, 지도부 논의 후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국지엠 역시 노사가 대립을 이어가고 있다. 한국지엠은 현재까지 7차례 교섭을 진행했지만 임금 인상, 수당, 성과급 지금 등 기본적인 안건에 대해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하지만 협상이 이제 시작단계이고 서로의 의견을 수렴해 합의안을 만들어나갈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앞서 지엠 노조 측은 기본급 14만2300원 정액 인상, 통상임금의 400% 성과급 지급 등을 포함한 요구안과 함께 전기차 생산 설비를 요구했다. 이에 대해 회사 측은 계속되는 회사의 적자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적자가 지속돼 현재로서는 전기차 생산 배정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한국지엠은 국내에 출시될 전기차 10종을 전량 수입할 계획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현대차 노사의 결정이 업계에 시사하는 바가 큰 만큼 현재 협상을 진행 중인 다른 업체들의 노조도 강경한 태도를 일관할 수는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협상 초기이고 양측의 의견조율에 시간이 필요한 만큼 조금 더 지켜봐야 될 것"이라고 전했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