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구상' 발표…용적률 1500% 이상 상향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서울의 마지막 남은 '금싸라기땅'으로 불리는 용산정비창 부지의 초고층 복합개발이 추진된다.

글로벌 하이테크 기업이 모이는 '아시아의 실리콘밸리'를 중심으로 일자리·주거·여가·문화생활까지 가능한 '직주혼합' 도시가 조성된다.

서울시는 이 일대를 첫 '입지규제최소구역'으로 지정, 용적률 1천500%를 웃도는 초고층 건물이 들어서도록 할 계획이다.

오세훈 시장은 26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이런 내용의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구상'을 발표했다.

이 개발구상은 향후 국제업무지구로 조성될 용산정비창 일대에 대한 개발 가이드라인을 인허가권자인 서울시가 제시한 것이다.

   
▲ 오세훈 서울시장/사진=미디어펜 윤광원 기자


사업구역은 용산정비창 및 선로 부지, 용산 변전소와 용산역 후면 부지를 포함하는 약 49만 3000㎡로, 국토교통부(23%)·한국철도공사(코레일. 72%)·한국전력공사 등이 나눠 갖고 있다.

용산국제업무지구는 ▲ 24시간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융복합 국제도시' ▲ 시민 삶의 질을 높이는 쾌적한 생활환경의 '녹지생태도시' ▲ 세계로 연결되는 사통팔달의 3차원 '입체교통도시' ▲ 첨단 스마트기술 혁신의 전진기지 '스마트도시'로 조성된다.

우선 최첨단 테크기업과 연구개발(R&D)·인공지능(AI) 연구소, 국제기구 등이 입주할 수 있는 업무공간과 마이스(MICE, 기업 회의·포상관광·컨벤션·전시) 시설, 비즈니스호텔, e-스포츠 콤플렉스 등이 들어선다.

또 50% 이상의 녹지율 확보를 목표로, 용산공원과 한강으로 뻗어나가는 방사형 녹지체계가 구축된다.

용산국제업무지구 중앙에는 접근성 높은 대규모 중앙공원, 철도부지에는 선형공원이 각각 조성돼, 북한산∼서울도심∼남산∼용산공원∼용산국제업무지구∼한강으로 이어지는 남북녹지축이 완성된다.

아울러 용산국제업무지구 내부를 연결, 용산역까지 이어지는 '입체보행네트워크'도 조성된다.

지하에는 차량 중심의 도로교통체계를 구축해 강변북로, 한강대로, 청파로 등 주요 간선도로와 직접 연결되는 지하도로를 개설해 서울 도심·강남, 인천공항으로의 광역 접근성을 확보한다.

용산역 인접 부지에는 미래항공교통(UAM),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지하철 등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환승거점인 '모빌리티 허브'를 만든다.

철도는 현재 5개 노선(경부선, 호남선, 1호선, 4호선, 경의중앙선)에 향후 3개 노선(GTX-B, 수색-광명 고속철도, 신분당선)이 추가돼 총 8개 노선 환승이 가능해진다.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미래도시 인프라도 도시 전역에 마련, 도로에서는 지능형 교통시스템 및 자율주행 통신시스템 등을 통해 자율주행이 가능해지고, 주택에는 사물인터넷 기반 관리시스템이 탑재된다.

서울시는 개발 구상 실현을 위해 용산정비창 부지 전체를 여러 개의 획지로 나누고, 모든 획지에 업무·주거·상업 등 다양한 기능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복합개발'을 허용키로 했다.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에서 제시한 비욘드조닝(Beyond Zoning, 용도지역 개편) 개념이 처음으로 전면 적용되는 것으로, 전체 부지를 국제업무, 업무복합, 주거복합, 문화복합 등으로 계획해 미래형 도시공간을 창출한다는 구상이다.

특히 서울시 최초의 입지규제최소구역을 지정, 법적 상한 용적률 1500%를 초과하는 초고층 건물이 들어서도록 할 방침이다.

입지규제최소구역은 입지규제를 적용받지 않으며, 별도의 건축물 허용용도·용적률·건폐율·높이 등이 적용된다.

서울시는 높이 제한은 최소화하되, 통경축 및 보행축과 주변 지역을 고려한 스카이라인이 형성될 수 있도록 지침을 제시할 예정이다.

또한 전체 부지의 70% 이상을 업무·상업 등 비주거 용도로 채울 계획이며, 고밀개발에 따른 부작용을 해소하고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체 부지 대비 기반시설율(도로·공원·학교 등)을 40% 수준으로 정했다.

개발은 공공기관인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와 코레일이 공동사업시행자(지분율 코레일 70%, SH공사 30%)를 맡아, 단계적·순차적으로 추진한다.

공공이 약 5조원의 재원을 투자해 부지 조성과 인프라 구축을 하고, 민간에서 부지별로 하나씩 완성해가게 된다.

SH공사와 코레일은 지난해 5월 공동사업시행을 위한 MOU(업무협약)를 체결했다.

두 기관은 향후 안정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별도의 전담 조직인 '용산개발청'(가칭) 구성을 검토할 예정이며, 용산역 인접 부지에 코레일이 건물을 지어 임대·분양하는 사업도 추진키로 했다.

서울시는 내년 상반기까지 도시개발구역 지정 및 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하반기 기반시설 착공, 2025년 앵커부지 착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오세훈 시장은 "지난 임기 때 추진했던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2013년 최종 무산된 이후 추진 동력을 잃어버렸었다"며 "용산이 가진 무한한 잠재력과 기회를 극대화하고, 변화된 여건과 미래 환경에 부합하는 개발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이번 계획으로 서울의 도시경쟁력을 높이고 국가경쟁력을 견인하는 한편, 최첨단 미래산업을 육성해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고 경제를 살리겠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