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지호 기자] 현재 은행권을 중심으로 논의되는 핀테크 혁신을 금융투자업계가 주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 은행권 핀테크의 한계를 벗어나 증권·운용사 등이 자본시장 불황을 타개하는 도구로 핀테크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를 위해 정부와 금융당국의 적극적인 규제 완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지난 22일 코스콤 주최 '자본시장 IT컨퍼런스 2015'에서 황영기 금융투자협회장은 금융투자업계가 가장 빠르게 핀테크 혁명을 활용할 수 있는 주체임을 강조했다.

   
▲ 황영기 금융투자협회장은 “핀테크 혁명은 금융투자업계가 주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사진=금투협

그는 “핀테크는 금융투자업계에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생사를 결정하는 문제임을 인식해야 한다”며 “금융투자회사는 타업권에 비해 다양하고 혁신적인 금융상품 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핀테크와 접목할 경우 금융서비스를 강화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황 회장은 “핀테크가 우리 자본시장에 새로운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면서 “핀테크 혁명은 금융투자업계가 주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간 국내 핀테크 혁신은 은행권에서 주도해왔다. 이에 그 논의가 지급결제나 인터넷전문은행으로 좁혀지면서 선진국에 비해 핀테크가 3~4년 뒤쳐진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세계 최고의 인터넷 강국’이라는 한국이 핀테크에서는 도무지 진전을 이루지 못하고 있는 것. 세계 핀테크 100대 기업 중 한국 기업이 전무한 실정이다.

아직 금융선진국이라고 할 수는 없는 중국에서도 핀테크는 송금 같은 제한적 서비스를 넘어 금융결제와 대출·투자로 빠르게 영역을 파괴하더니 자산관리와 투자자문으로까지 외형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에 비해 국내 핀테크는 각종 규제와 소극적인 금융투자업계의 움직임 등으로 은행권의 지급결제를 제외하고는 구체적 서비스에 대한 논의조차 잘 이뤄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 점에 대해서는 금융당국도 공감을 표시하고 있다. 임종룡 금융위원회 위원장은 자본시장 IT컨퍼런스 2015에서 “국내 핀테크 혁신이 지급결제에만 논의 초점이 좁혀져 있었지만, 이제는 자본시장이 나서야 한다”며 “자본시장이 어떻게 IT를 접목해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가 핀테크 혁신이 될 것”이라고 주문했다.

하지만 아직도 높은 수준의 규제는 자본시장 핀테크 혁신의 걸림돌로 작용한다는 지적이다. 이성복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은행권보다는 자본시장이 핀테크를 활용할 수 있는 것이 훨씬 많다”며 “자본시장이 핀테크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가 규제를 완화하는 등 적극적으로 밀어줄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민화 카이스트 교수는 28일 열린 '미디어펜 2015 크리에이티브 비전 포럼'에서 “핀테크의 규제를 사전규제에서 사후책임으로 바꾸고 유연하게 규제할 필요가 있다”며 “정보 개방과 정보보호도 적절히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다. 핀테크는 기술보다 제도가 중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