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상황 변화에 따른 정책적 지원 절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최근 인플레이션과 금리상승 두 악재가 겹치면서 기업들의 실적둔화와 재무구조 악화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재무구조가 취약한 한계기업(이자보상률 3년 연속 1미만 기업)이 크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경제 상황 변화에 따른 정책적 지원과 세밀한 관리 체계가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 최근 인플레이션과 금리상승 두 악재가 겹치면서 기업들의 실적둔화와 재무구조 악화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사진=김상문 기자


최근 산업은행 산하 KDB미래전략연구소가 발행한 '한계기업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한계기업의 수는 꾸준한 증가 추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기업 규모와 무관하게 한계기업 수도 증가했다.

실제 2011년 1353개였던 한계기업은 2016년 2165개에서 2021년 4478개로 증가했다. 분석 대상 기업의 비중도 같은 기간 10.2%→11.6%→18.3%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업종별로 전반적인 증가 추세를 보인 가운데 최근 숙박 및 음식업점과 부동산, 임대업의 증가 폭이 컸다. 한계기업 가운데 영업손실이 3년 이상 되는 기업이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 한계기업으로 한번 진입 후 그 상태가 지속되거나, 다시 한계기업으로 분류되는 빈도수가 증가하는 등 만성적 한계기업도 증가 추세다. 

최근 10년간 2회 이상 한계기업이었던 기업은 지난해 기준 5651개로 전체 분석 기업의 4분의 1(23.1%)을 차지했으며, 5년 전인 2016년(2493개)과 비교해 9.8%포인트 증가했다.

한계기업의 증가 원인을 수익성, 차입금의존도, 차입비용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수익성 감소와 차입금의존도 증가가 한계기업의 증가 원인으로 분석됐다. 반면 코로나19 이후 저금리 상황이 이어지며 기업대출금리가 낮은 수준을 유지해 낮은 차입비용은 한계기업의 증가를 늦추는 방향으로 작용했다.

코로나19 이후 금리인하, 원리금상환유예 등 안정화 조치에 힘입어 차입여건은 완화됐으나, 총자산 규모 대비 영업이익이 낮아지면서 한계기업이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한계기업의 낮은 이자보상배율이 개선되지 못하고, 영업손실로 이어지는 등 취약화되거나 만성화되는 경향을 보인다는 분석이다.

특히 최근 인플레이션 압력이 장기화되면서 기업의 생산원가 부담이 높아지며 수익성이 악화될 경우 한계기업을 중심으로 어려움이 가중될 우려는 높아지고 있다. 

차입이자율 대비 기업의 낮은 수익성이 지속될 경우 대출금리 상승 압력이 높아지면서 채무불이행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인플레이션 지속과 급격한 금리상승이라는 외부충격이 강하게 발생하면 한계기업이 단기간 급격하게 증가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다.

여기다 낮은 이자율로 한계기업의 범주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대출금 상환 재원과 운전자금 등 기본적인 자금수요 증가에 대응이 어려운 기업의 경우 자금시장 경색 등 외부충격 발생시 잠재적 부실이 현실화될 우려도 크다는 진단이다.

박찬우 연구위원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장기화되면서 기업의 생산원가 부담이 높아지고 수익성이 악화될 경우 한계기업을 중심으로 어려움이 가중돼 부실화 우려가 있다"며 "경제상황 변화에 대응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고, 기존 한계기업이 만성화되지 않도록 세밀한 관리 체계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