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가처분 기각…국힘 재정비에 민주당 반사이익 감소 전망
내부 결집·비판 재개…전면 등장한 이재명, 정당 경쟁력 확보 사활
[미디어펜=최인혁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최근 정당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전면에 나서는 등 차별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새 지도부 선출 후 컨벤션 효과를 기대했지만 특출한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은 물론, 반사이익을 얻을 기회도 점차 사라짐에 따라 대여투쟁 전략을 수정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재명 지도부는 지난 8월 28일 출범 후 ‘강한 야당’으로서 정부여당의 실책을 바로잡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특히 이재명 대표는 ‘정쟁’에 골몰하는 것 보다 ‘민생’을 챙겨 전국정당, 대안정당으로 나아가자며 “(상대의) 실책에 따른 반사이익을 기대하는 것은 안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최고위원들을 중심으로 정부여당에 대한 견제가 펼쳐질 동안 이 대표는 다소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대신 그는 ‘민생’을 강조하며 정쟁으로부터 피로를 느끼는 중도층 사로잡기에 집중했다.

   
▲ 더불어민주당이 정당 지지율이 답보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자 이재명 대표를 전면에 앞세워 차별화 전략에 속도를 올리고 있다./사진=이재명 대표 유튜브


그러나 이재명 지도부가 출범 된지 5주가 지난 현재 일명 투트랙 전략은 실효성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된다. 민주당이 정당 지지율 경쟁에서 압도적으로 유리한 조건을 가졌음에도 답보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재명 지도부가 출범 된 후 여당은 당권 경쟁 탓에 법정 공방에 매몰됐고, 정부는 영빈관 신축, 외교참사 논란 등 실책을 이어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 민주당은 정부여당과 차별성을 보여주지 못해 중도층의 마음을 사로잡지 못한 것으로 관측된다.

여론조사기관 한국갤럽이 지난 4일부터 6일까지 성인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7일 발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민주당의 지지율은 지난주(36%) 대비 4% 포인트 하락한 32%로 집계됐다. 내외부적으로 난항을 겪고 있는 국민의힘(33%)과 치열하게 각축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다.

이는 민주당이 민생을 거듭 강조했음에도 불구, 피부에 와 닿을 수 있는 뚜렷한 성과를 나타내지 못했기 때문이란 지적이 나온다. 더불어 이 대표의 대장동 개발, 변호사비 대납, 성남FC 부정 후원금 의혹 등 사법 리스크가 고조돼 민심 외면이 가팔라지는 것으로 파악된다.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월 5일 오전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에서 '당원존' 개관식 겸 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이러한 상황 속 지난 6일 여당을 흔들던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의 가처분 신청이 법원으로부터 기각돼 내홍으로 얻던 반사이익도 축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민주당은 이재명 대표를 전면에 앞세우고 차별화에 속도를 높이게 됐다. 민주당은 최근 정당 중 최초로 중앙당사에 당원존을 개소했다. 당원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내부 결속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그러면서 민주당은 당원존 개소가 이재명 대표의 ‘1호 공약’이라는 점을 부각하며 이재명 띄우기에 집중했다. 정쟁 대신 민생을 외치며 정부여당 비판에 소극적이던 이재명 대표도 이에 호응하며 본격적으로 전면에 나섰다.

이 대표는 지난 7일 한미일 동해 합동훈련을 ‘친일 국방’이라고 비난하며 비판을 재개하고 존재감을 드러냈다. 강점으로 여겨지는 ‘사이다 발언’으로 국민들의 시선을 집중 시키고, 실책을 일삼는 정부여당과 차별성을 강조하려는 취지로 보인다. 

더욱이 수사당국이 이 대표의 부정 의혹과 관련해 수사에 속도를 높임에 따라 이 대표가 전면에 나서 사법 리스크를 정쟁화하는 것이 중도층 마음을 확보하는데 더욱 효과적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해석된다.

* (주)한국갤럽조사연구소가 의뢰하고 자체 조사했다. 2022년 10월 4일부터 6일까지 3일간 조사를 실시했고, 전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조사방법은 전화조사원 인터뷰로 유선전화면접 10%(유선전화번호 RDD 랜덤 생성한 번호 중 추출) 및 무선전화면접 90%(무선전화번호 RDD 랜덤 생성한 번호 중 추출)였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다. 더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여론조사결과 현황 게시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미디어펜=최인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