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명회 경제부장/부국장
[미디어펜=김명회 기자] 카카오그룹이 또다시 계열사 쪼개기 상장에 나서고 있다. 기업들이 돈 되는 사업의 물적분할을 통해 대주주의 주머니만을 채운다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카카오가 계열사 상장에 나서는 것이다.

물적분할은 돈 되는 사업을 따로 떼어 새롭게 상장하는 것으로 기존의 기업은 기업가치가 훼손된다. 따라서 기존기업의 소액주주들은 그만큼 피해를 본다. 

카카오가 새롭게 상장시키려는 계열사는 카카오게임즈의 자회사 라이온하트 스튜디오다. 카카오는 지난 2020년 9월 카카오게임즈, 지난해 8월 카카오뱅크와 11월 카카오페이 등 자회사를 차례로 상장시켜 물적분할 논란을 촉발시켰다. 

핵심 자회사들을 분리해 상장시키고 기존 대주주와 임원들은 지분매각과 스톡옵션으로 막대한 차익을 챙겼다. 반면 카카오에 대한 개인투자자들은 기업가치가 훼손됨으로써 막대한 손실을 봤다.

카카오그룹 4개회사의 주가를 보면 지난 11일을 기준으로 카카오는 5만100원, 카카오뱅크 1만7800원, 카카오페이 3만6350원, 카카오게임즈 3만8200원을 기록했다. 최고가 대비해 카카오는 71.04%, 카카오뱅크 81.11%, 카카오페이 85.37%, 카카오게임즈 67.07%가 각각 하락했다.

주가하락의 원인으로 미국의 금리인상과 물가상승에 따른 시장조정 영향을 받은 것도 있지만 가장 큰 요인은 카카오그룹의 행태로 인해 기업가치가 크게 훼손된 결과라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특히 이번에 카카오가 추가 상장시키려고 준비하고 있는 라이온하트 스튜디오의 가치가 너무 고평가 되어 있어 더 큰 불신을 사고 있다. 라이온하트 스튜디오의 경우 출시게임이 사실상 ‘오딘’ 하나밖에 없음에도 기업가치 규모가 4조원으로 계산됐다. 

카카오게임즈의 현재 시가총액이 3조1600억원 정도인데 라이온하트 스튜디오는 이를 뛰어넘어 코스닥시장에서 단숨에 게임 대장주로 꼽히게 된다. 차기작이라도 있으면 좋을 텐데 현재 드러난 것이 없는 만큼 차기작 출시는 1년 이후에나 가능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 카카오게임즈의 자회사 라이온하트 스튜디오가 내달 코스닥 상장을 추진하면서 또 쪼개기 상장이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사진=카카오게임즈


게임 ‘오딘’은 지난 2분기 카카오게임즈 매출의 절반에 달하는 1646억원의 매출을 올린 카카오게임즈의 핵심이다. 이 게임을 제작한 곳이 라이온하트 스튜디오이고 자체 유통망은 갖추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이 회사의 공모가 산정 근거로 엔씨소프트, 크레프톤, 펄어비스, 넥슨, 액티비전블리자드, 넷이즈 등 6개기업을 선정해 주가수익비율(PER) 25.19배를 적용했다. 하지만 이 회사들은 모두 개발과 유통을 겸하는 종합게임사이고 보유한 작품수도 많다. 단순비교를 할 수 없는 것이다.

이 회사의 대주주와 임원들이 대거 이득을 챙기겠다는 목적이 있기에 상장을 준비하는 것처럼 보여진다.

기업의 물적분할로 인해 잡음이 생기 곳은 카카오만은 아니다. LG화학이 전기차 배터리 사업을 영위하는 LG에너지솔루션과 물적분할해 상장시킴으로써 개인투자자들에 피해를 입혔고, SK이노베이션 역시 배터리 사업부문인 SK온을 물적분할 시켰다.

이외에도 한국조선해양과 풍산, DB하이텍, 후성 등에서도 물적분할을 공시했다. 물론 DB하이텍과 풍산 등이 소액주주 반발로 물적분할을 철회하기는 했지만 물적분할 공시로 주가가 큰 폭 하락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최근 국정감사에서도 카카오그룹의 물적분할에 대한 질타가 이어졌다. 대주주의 지배력 강화와 자금조달을 위해 물적분할이 악용되고 있다면서 이로 인해 개인투자자들은 물론 장기적 투자자인 국민연금까지도 손실로 이어졌다는 질타였다.

기업으로서는 대주주의 지배력 강화나 자금조달도 좋지만 기업가치를 훼손시켜 개인투자자들의 눈물을 빼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미디어펜=김명회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