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북한이 현영철 인민무력부장이 숙청됐다는 국가정보원 발표에 대해 부정도 긍정도 하지 않아 숙청을 시인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17일 유호열 고려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의 첫 반응이 숙청 자체가 아닌 외부의 비판에 초점이 맞춰진 측면을 보면 맥락상 숙청 및 처형이 사실일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유 교수는 이어 "조선중앙TV 기록영화에 여전히 현영철 부장의 모습이 보이는 것은 김정은 정권이 장성택 처형 당시와는 다른 수준의 사안으로 이번 숙청을 바라보고 있기 때문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도 "일단 북한이 첫 반응에서 숙청을 부인하지 않았다는 점이 중요하다"면서 "단언하기는 어렵지만 실제 숙청했을, 나아가 처형했을 가능성이 적지 않다"고 분석했다.

장 선임연구원은 이어 "북한이 숙청을 하지 않았다면 반박하면 되는데 우리 정부뿐만 아니라 미국 등도 비판하는 상황임에도 하지 않았다"면서 "북한이 향후 갑자기 현영철을 공개하는 식의 행동을 하지는 않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장 선임연구원은 북한 기록영화에서 여전히 현영철이 삭제되지 않은 점에 대해서는 "인지하지 못했다거나 기술적 어려움 때문은 아닐 것"이라며 "의도적으로 외부 여론에 혼란을 주기 위해서일 수 있다"고 풀이했다.

북한의 대남선전용 웹사이트 우리민족끼리는 이날 편집국 성명을 통해 숙청을 부정도 인정도 하지 않은 채 "우리의 최고 존엄을 훼손하는 악담질을 계속한다면 멸적의 불소나기를 면치 못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성명은 "우리의 최고 존엄을 훼손하려는 역적 무리들을 민족의 이름으로 무자비하게 징벌할 강철포신들이 격동상태에 있다"고 위협하며 "자멸을 재촉하는 어리석은 놀음을 당장 걷어치우고 사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앞서 국가정보원은 지난 13일 현영철 북한 인민무력부장 등의 숙청 첩보를 공개하면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집권한 이후 처형된 간부가 70여명에 달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