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부도위험 정도를 나타내는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이 7년 4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한국의 국가부도위험이 글로벌 금융위기 전인 2007년 이전 수준 돌아갔다는 것을 의미한다.

18일 시장정보업체 마킷(Markit)에 따르면 한국의 5년 만기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에 붙는 CDS 프리미엄은 15일 종가 기준 46.24bp(1bp=0.01%포인트)로 집계됐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하기 전인 2007년 12월 31일(45.0bp) 이후 최저치다.

CDS는 채권을 발행한 국가나 기업이 부도났을 때 손실을 보상하는 일종의 보험성 파생상품으로, 부도 위험에 비례해 가산금리(프리미엄)가 붙는다.

올 초만 하더라도 한국의 CDS프리미엄은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디플레이션 우려와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으로 급등하는 모양새였다. 그러나 점차 유가가 안정을 찾고,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하면서 경제지표가 호전되자 CDS프리미엄은 1월 이후 하향세에 접어들었다. 무디스가 국가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높인 영향도 컸다.

한국의 부도위험 하락은 최근 독일과 미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채권금리가 급등하는 상황과 상반돼 주목된다. 지난달 말 이후 독일 채권가격 폭락(금리상승)으로 촉발된 국제 국채금리 급등으로 주요국 채권금리는 상승세가 계속되고 있다.

이런 불안정한 상황에서도 한국의 CDS 프리미엄은 안정세를 이어가고 있다. 일본의 CDS 프리미엄이 최근 30bp 중반대에서 후반대로 상승한 것과도 다른 양상이다.

유로존과 일본의 양적완화로 글로벌 유동성이 풍부해진 상황에서 한국은 경상수지 흑자와 경제지표 개선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지금의 안정세가 당분간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

이정욱 한국은행 자본이동분석팀장은 "최근 한국 CDS 프리미엄의 하락은 경상수지 흑자 확대와 외국인 자금 유입이 배경으로 작용한 것"이라며 "글로벌 유동성이 풍부한 상황에서 한국의 대외 건전성이 견실함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