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용식 교수 "현금 넉넉한 기업, M&A 늘릴 것"
롯데케미칼, 1조1000억 규모 유증…기초 체력↑
LG화학, 레벤타스·석문산단에 3114억 원 투자
SK케미칼, 2030년 코폴리에스터 생산 능력 50%↑
[미디어펜=박규빈 기자]물가 상승·고금리 등 글로벌 경기가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가운데서도 국내 화학업계가 투자 전략을 전개하고 있다.

   
▲ 롯데케미칼 대산공장/사진=롯데케미칼 제공

21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케미칼은 1조1000억 원 규모의 주주 배정 방식 유상증자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유상증자의 목적은 지난 10월 발표한 타 법인 지분 취득을 위한 자금 조달과 운영 자금 마련 등에 있다.

롯데케미칼은 내년 1월 19일 구 주주들을 대상으로 한 1차 청약을 실시하고, 1월 26일 일반 공모에 나선다.

롯데케미칼은 재무 건전성을 유지하고자 △최소 운영 자금 1조 원 이상 유지 △별도 기준 부채율 70% 이내 △전체 차입금 중 장기 차입금 비중 65% 유지를 목표로 투자·조달 계획 등을 조정하며 시황에 대응해 나간다는 입장이다. 글로벌 인플레이션·공급망 불안 등의 복합적인 위기를 극복하려면 기초 체력이 받쳐줘야 하기 때문이다.

롯데그룹 화학군은 배터리 관련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화학군은 양극박·동박·전해액 유기 용매·분리막 소재 등 2차 전지 핵심 소재 밸류 체인을 구축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아울러 미국·유럽 등 해외 시장 확대를 통해 글로벌 친환경 배터리 소재 선도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계획 아래 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LG화학 건물 전경./사진=LG화학 제공

LG화학은 영국 비상장 기업 '레벤타스(Reventas Limited)'에 약 14억 원을 투자해 지분 5%를 취득했다. 2010년 설립된 이 회사는 냄새나고 오염된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분리해 순수한 재활용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생성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레벤타스는 2019년 영국 정부로부터 혁신 기술 개발비를 지원받은 바 있고, 2020년 유럽 연합(EU) 집행위원회로부터도 탄소 중립 달성 차원에서 자금을 받아 1차 실증 시설 착공에 들어갔다.

레벤타스 측은 "대규모 석유화학 시설 필요성에서 벗어날 수 있어 훨씬 친환경적"이라며 "재활용으로 인한 환경 발자국을 줄이는 에너지 효율이 매우 높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LG화학은 화학적 재활용을 통해 새 제품과 동일한 품질의 플라스틱을 생산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아울러 LG화학은 지난 16일 2024년 11월까지 3100억 원을 들여 석문국가산업단지 내 23만8368㎡의 부지 중 4만5000㎡에 재활용 플라스틱을 활용해 국내 최초 초임계 열분해유 공장과 차세대 단열재(에어로젤) 공장을 신설하는 내용의 투자 협약을 충청남도청·당진시와 체결했다.

초임계 열분해유 공장에서는 재활용 플라스틱을 열분해하고 초기 원료인 납사를 추출한다. 연간 재활용 플라스틱 2만5000톤을 투입하면 2만 톤의 열분해유를 생산, 자원 순환·탄소 중립 실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초임계는 온도·압력이 물의 임계점을 넘어선 수증기 상태에서 생성되는 특수 열원으로, 액체 용해성·기체 확산성을 모두 지녀 특정 물질을 추출하기에 유용하다.

차세대 단열재 공장에서는 에어로젤을 생산한다. 에어로젤은 95% 이상이 기체로 구성돼 있어 가장 가벼운 고체로 불린다. 공기처럼 가벼우나 물에 젖지 않고, 불에 타지 않는 차세대 소재여서 이목이 집중된다. 대기권에 진입할 때 고열을 견뎌야 하는 우주선·우주복 등에 사용되며, 액화수소 수송‧보관 등 산업용 고부가 단열재 시장으로 용도가 확대되고 있다.

이 외에도 LG화학은 미국 항암 바이오 기업 인수에 8000억 원을 들였고, 배터리 분야에 대해서는 미국 테네시주 일대에 169만㎡ 규모의 양극재 공장 건설을 추진 중이라는 외신 보도가 이어지고 있다.

   
▲ 화학적 재활용 플라스틱 소재를 적용한 칫솔./사진=SK케미칼 제공

SK케미칼은 화학적 재활용·바이오 소재·그린 에너지 사업 등으로 화학 사업 포트폴리오를 정리했다. 최근 그룹 전반의 경영 기조가 친환경으로 자리를 잡았기 때문이다.

전광현 SK케미칼 사장은 최근 판교 본사에서 '에코 트랜지션'을 통해 2030년 그린 소재 관련 매출 2조6000억 원을 달성하겠다는 포부를 내비쳤다. 그는 "코폴리에스터 생산 능력 확대와 화학적 재활용 글로벌 인프라 구축, 신규 바이오 소재 개발 등에 1조 원 이상 투자하겠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 중 SK케미칼이 주력으로 꼽는 사업은 코폴리에스터다. 코폴리에스터는 환경 호르몬인 비스페놀A(BPA) 검출 우려가 없는 소재로, 투명하고 가벼우며 강도가 강해 화장품 용기와 전자 부품·건축 자재·광학 필름 등 생활용품부터 산업재까지 다양한 용도로 쓰인다.

SK케미칼의 핵심 사업인 만큼 코폴리에스터 생산 능력을 2030년까지 50% 이상 확대하고,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리사이클 플라스틱 시장 수요에 대응해 2030년 판매 비중 100%를 달성하겠다는 입장이다.

SK케미칼은 동아시아 지역 코폴리에스터 수지 시장에서 50% 이상의 점유율을 확보했다. 북미·유럽에서는 시장 점유율 확대에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코폴리에스터 사업부는 투명성과 성형성이 높은 내열용 고기능성 코폴리에스터 개발·판매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

SK케미칼 관계자는 "환경 친화적 고기능성 플라스틱 수지의 거래처의 다양화를 추진하고 있다"며 "기술·사후 서비스를 강화하고, 안정적이고 경쟁력 있는 원료 확보와 공급을 통한 시장 판매를 늘려나가겠다"고 전했다.

이처럼 국내 화학 기업들이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 투자 규모를 늘려가고 있는 건 위기를 돌파구로 활용할 역량이 있어서 가능한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황용식 세종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가계 부채나 체감 경기는 불황일 수 있지만 요즘 기업들은 융·복합을 무기로 새로운 분야에 진출하는 등 과단성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황 교수는 "퍼펙트 스톰 시기에 현금 보유량이 넉넉한 기업들이 과감한 투자를 한다는 건 파고를 넘을 자신감이 넘친다는 것과도 궤를 함께 한다"며 "이럴 때일 수록 투자 규모를 키워나갈 것으로 예상한다"고 부연했다.
[미디어펜=박규빈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