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수출 증가 0.5% 전망…기업 10곳 중 9곳 ‘현상유지’ 혹은 ‘긴축’
수출 실적 개선 위한 정부 노력, 세제·노동시장의 제도 개선 등 필요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수출과 경제 성장률 정체 등 내년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이 더욱 짙어지고 있다. 기업들은 ‘현상유지’를 최대 목표로 내년 위기극복에 초점을 맞추는 모습이다.

19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매출액 1000대 기업 중 12대 수출 주력 업종을 대상으로(150개사 응답) ‘2023년 수출 전망 조사’를 진행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들은 평균적으로 내년 수출이 올해 대비 0.5% 증가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 부산신항 전경/사진=부산항만공사 제공

내년 수출 증가율 전망치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전기전자(주3)(-1.9%), △석유화학·석유제품(-0.5%), △철강(+0.2%), △자동차·자동차부품(+0.9%), △일반기계·선박(+1.7%), △바이오헬스(+3.5%) 등이었다.

기업 수 기준으로는 39.3%의 기업들이 내년 수출이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고, 60.7%의 기업들은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내년 수출이 올해보다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한 기업들은 △높은 수준의 원자재 가격 지속에 따른 수출경쟁력 약화(45.7%), △주요 수출 대상국의 경기 부진(33.9%), △해상, 항공 물류비 상승 등 물류 애로(10.2%) 등을 주요 요인으로 지목했다.

응답 기업의 53.3%에 해당하는 기업들은 내년 수출 채산성이 올해와 비슷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수출 채산성이 악화될 것으로 응답한 기업(28.0%)이 개선될 것으로 응답한 기업(18.7%) 보다 많았다.

기업들은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 정책 우선순위로 △원자재 수급 관련 세제 지원(38.0%), △수출물류 차질 방지를 위한 지원(24.7%), △공급망 애로 해소를 위한 외교적 노력 강화(21.3%) 등을 꼽았다.

경제단체들은 내년에도 국내 경제 성장률은 1%대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기업들이 활로를 찾기 어려운 상황이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

한편,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3(한국·중국·일본) 거시경제조사기구(AMRO)는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을 1.9%로 예상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8%, 한국은행 1.7%, 한국개발연구원(KDI) 1.8%, 아시아개발은행(ADB) 1.5%도 1%대 중후반을 전망하고 있다.

내년 경영 환경이 녹록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기업들은 허리띠를 조이고 있다. 비상경영 속에 현상유지 또는 긴축에 무게를 두고 있다.

최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전국의 30인 이상 기업 24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3년 기업 경영전망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경영계획 수립을 완료했거나 초안을 짠 기업 90.8%가 내년 경영계획 기조에 대해 ‘현상 유지’(68.5%) 또는 ‘긴축경영’(22.3%)이라고 답했다. ‘확대 경영’은 9.2%에 그쳤다.

재계에서는 내년에 경영환경 악화가 예상되는 만큼 기업들의 활력 제고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재계 관게자는 “원자재 수입 관련 세제 지원 확대, 수출물류 차질 방지 등 수출 실적 개선을 위한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 며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제와 노동시장의 제도 개선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