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삼성전자 주가 현재 '바닥'…저점 매수 전략 유효"
[미디어펜=홍샛별 기자] 오는 6일 4분기 실적발표를 앞둔 삼성전자의 주가 향방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모아진다. 실적 부진이 예상되는 만큼 5만원권에 갇혀 있는 주가가 더 추락할 수도 있다는 전망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증권가에서는 그러나 삼성전자의 주가가 ‘바닥’에 접근했다며 저점 매수 전략이 유효한 것으로 보고 있다.

   
▲ 오는 6일 4분기 실적발표를 앞둔 삼성전자의 주가 향방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모아진다. /사진=미디어펜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300원(0.54%) 오른 5만5700원에 거래를 시작했다. 이후 주가는 오름폭을 키우며 오전 11시 기준 전장 대비 2.88% 오른 5만7000원을 나타내고 있다. 

이날 주가 상승세는 정부가 대기업의 반도체 시설투자 세액공제를 늘리기로 한 영향이 컸다. 전날인 지난 3일 정부가 발표한 반도체 투자 세제 지원 강화 방안에 따르면, 반도체·배터리·백신·디스플레이 등 국가전략기술의 당기(연간) 시설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율이 대기업 기준 현재 8%에서 15%로 상향된다.

이와 별도로 올해 투자 증가분(직전 3년 평균치 대비)에 대해서는 국가전략기술 여부와 상관없이 10%의 추가 공제 혜택이 주어진다. 이에 따라 반도체 등 전략 분야에서 신규 사업에 뛰어드는 대기업은 당기분과 증가분을 합쳐 최고 25%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세제혜택 호재로 주가가 반짝 상승했지만, 최근 삼성전자의 주가는 부진을 씻어내지 못했다. 지난해 12월 중순 다시 5만원대로 내려온 이후 하락을 거듭해 왔다. 지난해 연초 주가가 7만8300원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전일 종가(5만5400원) 기준 주가 하락률은 29.25%에 달한다. 

삼성전자의 주가 하락의 원인은 반도체 불황에서 시작됐다. 반도체 업황 악화로 실적에 빨간불이 들어오면서 주가도 흘러 내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 지난해 메모리 반도체인 D램(RAM) 현물 가격은 40% 넘게 하락했고, 수요 역시 급락했다. 이 같은 영향 속에 삼성전자뿐 아니라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의 주가도 줄줄이 내려 앉았다. 

문제는 올해도 반도체 업황이 나아지기 어렵다는 데 있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올해 반도체 시장 매출은 5960억달러(약 761조920억원)로 지난해 6180억달러(약 789조1860억원)보다 3.6% 감소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삼성전자의 실적도 부진할 것으로 여겨진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지난해 4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는 71조5462억원, 6조4263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56%, 53.66% 급감한 수준이다. 올해 매출액과 영업이익 컨센서스 역시 286조8456억원, 26조300억원으로 지난해(추정치)인 303억3495억원, 45조4839억원보다도 대폭 축소될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영업이익의 경우 지난 2019년 이후 3년 만에 20조원대로 내려앉을 수 있다는 이야기까지 나온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시장 및 투자자들의 관심은 삼성전자의 주가 전망에 쏠린다. 증권가에서는 현재 삼성전자의 주가가 ‘바닥’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박유악 키움증권 연구원은 “연말·연초의 반도체 업황은 고객들의 재고 조정이 강도 높게 나타났고, 메모리 공급 업체들은 목표치를 밑도는 출하량으로 인해 보유 재고가 급등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면서 “일정 부분 인지해 왔던 만큼 현 시점에서는 삼성전자의 주가가 이미 바닥 수준에 근접했고, 급격한 시황 악화가 메모리 공급 업체들의 추가 감산 결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재고 조정이 강한 만큼 ‘유통 재고의 정상화 시점’은 앞당겨질 것”이라고 밝힌 박 연구원은 “해당 시기에 발생될 공급의 감소는 메모리 반도체 업황을 턴어라운드 시키는 촉매제가 될 것이기 때문”이라며 비중 확대를 제안했다.

송명섭 하이투자증권 연구원도 “삼성전자 현재 주가는 2023년도 BPS(주당 순자산가치) 대비 1.11배로 과거 주가 급락기 최저점 배수 들의 평균치인 1.10배와 유사한 수준”이라며 “경기선행지표 반등에 따른 1분기부터 밸류에이션 배수 상향과 3분기부터 주당 가치 상승을 감안하면 올해 말 주가는 현재 대비 큰 폭으로 상승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미디어펜=홍샛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