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담·유언비어 난무 지나친 공포 유발…국가 브랜드 상처 생각해야

   
▲ 송덕진 극동미래연구소장, 휴먼디자이너
지난 토요일 오전, 스마트폰에서 한 번도 듣지 못한 굉음이 5분 간격으로 무려 3번이나 울렸다. 처음에는 깜짝 놀랐다. 혹시 폰 고장?. 아니었다. 그건 다름 아닌 메르스 예방수칙이 담긴 긴급 재난문자였다. 요즘 거리는 세 부류로 나뉜다. 남성, 여성, 그리고 마스크 쓴 사람.

메르스에 대한 과장 심해도 너무 심해

필자가 며칠 전 메르스와 관련해 칼럼을 게재했더니 부정적인 의견이 난무했다. “그냥 글 내리지 그래”, “또 죽어간다”, “당신이 메르스 걸려도 이런 기사를 쓸 수 있나”, “거짓 선전은 당신이 하고 있다” 등등. 뭇매를 맞는 모습이 측은했던지 지인 한 명이 마스크를 선물했다. 물론 그 마스크는 현재 집 식탁에 위에 놓여져 있다.

찌라시, 문자 등등 온갖 괴담이 홍수를 이루고 있다. 메르스 공포가 과장되도 너무 과장됐다. 초기 정부의 대응 능력이 허술했던 탓도 있다. 하지만 선진국 규모의 국가경제 수준으로 볼 때 지금의 호들갑스런 면이 부끄럽기조차 하다. 해서 메르스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정리해 보았다.

전파력도 낮고 건강한 사람에게 약한 메르스

대다수의 국민들은 메르스 환자가 지나간 자리에만 가도 감염된다고 잘못 생각하고 있다. 메르스는 감염된 환자와 직접 접촉에 의해 이뤄진다. 공기에 떠도는 바이러스로 감염되는 것이 아니다. 메르스는 감염 환자의 침, 침이 묻은 손, 침이 튄 물건을 통해 전파된다. 메르스 환자와 긴밀한 접촉에 의해 전파된다. 그만큼 전파력이 낮다는 것이다.

하지만 치사율은 높다. 메르스는 일단 감염이 되면 독감 등 전염병보다 사망률이 높은 편이다. 메르스에 의한 사망은 평소에 암, 당뇨, 신장질환, 폐질환이 있는 면역력이 낮은 사람에게 발생하며, 면역력이 정상인 건강한 사람은 감염이 되지 않거나 감염이 되어도 가볍게 앓고 지나간다. 결국 사망률은 높지만 건강한 사람에겐 전파도 잘 되지 않는 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메르스에 불안해 하는 것은 한 방에 보낼 수 있는 치료제가 아직 없다는 점이다. 현재로선 항생제, 면역증강제, 항바이러스제 등 다양한 치료를 통해 면역력을 높이면서 치료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면역력이 약하거나 병증을 가지고 있는 어르신들이 청년들보다 위험하다.

   
▲ 메르스에 대한 지나친 공포심은 자제돼야 한다. 메르스는 감염된 환자와 직접 접촉에 의해 이뤄진다. 공기에 떠도는 바이러스로 감염되는 것이 아니다. 메르스는 감염 환자의 침, 침이 묻은 손, 침이 튄 물건을 통해 전파된다. 메르스 환자와 긴밀한 접촉에 의해 전파된다. 그만큼 전파력이 낮다는 것이다./사진=연합뉴스
너무나 호들갑 떠는 것이 아닌가

메르스 감염에 우려에 2000여 곳 가까운 학교가 휴교령을 내렸다. 평소 붐비던 영화관도 대형 쇼핑센터도 눈에 띄게 한산해 졌다. 대형 행사도 상당수 취소됐다. 아직 병원 밖 감염된 사례는 보고된 적이 없다. 선제적 대응도 중요하지만 너무 지나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휴교와 행사 취소에 앞서 정부가 제시한 예방수칙을 잘 지키면서 그에 따르는 것이 순서가 아닐까? 그리고 이번 기회에 자유만큼 책임도 깨달았으면 좋겠다. 

아직도 국민들은 감기나 독감 등의 증세가 나타나면 병원에 가기 보다는 혼자 끙끙 앓는 경우가 많다. 거기에 아무런 준비없이 출근하거나 등교까지 한다. 자신의 병을 빨리 이겨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남에게 옮기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이번 메르스를 교훈 삼아 개인 위생뿐만 아니라 타인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생활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대화할 때 침이 많이 튄다면 조심하자. 자주 손도 씻자. 채채기나 기침에 대비해 항상 손수건도 준비하자. 이런 생활속 작은 실천들이 괴담이나 유언비어에 대한 불안감을 없애주고 메르스 같은 질병퇴치의 우선순위임을 기억하자.

과도한 복지에 비해 초라한 보건

대한민국 보건복지부는 이름만 보건복지부다. 처음부터 복지부라고 했어야 했다. 보건복지부에는 복지전문가는 많지만 보건 전문가는 턱없이 부족하다. 장관도 복지를 전공한 학자 출신이고 차관도 고위직 공무원들도 보건보다 복지에 오랫동안 일을 해 왔다. 보건복지부 예산의 90% 이상이 복지 예산이고 보건 예산은 5%도 안 되는 현실이 더욱 더 보건복지부를 초라하게 만든다.

보편적 복지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이번 메르스 사태를 키운 점도 있다. 포퓰리즘적 무상복지를 부르짖었던 정치인들의 반성도 이 기회에 있었으면 한다. 복지는 애들 밥 먹이고, 가르치는데 막대한 세금을 쓰기 보다는 국방, 치안, 보건과 같이 국가가 할 수 있는 일을 제대로 할 때 진정한 복지라 할 수 있다.

전염병 창궐국가 오명을 쓰면 안 돼

일부에서는 메르스 환자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라고 하는데 정보공개를 하지 않은 점에 대해서 국가가 잘한 일이라 본다. 정부의 비밀주의가 아니라 온갖 괴담으로 진실이 왜곡되는 것을 막는 것이 오히려 국민들을 안심시킬 수 있다.

전파력이 낮은 메르스는 시간이 지나면서 위력이 줄어들 것이다. 2003년 중국 사스(SARS)로 중국은 전염병 창궐국가 오명을 벗는데 수 시간이 걸렸다. 메르스 사태 때문에 걱정되는 부분은 중국처럼 전염병 창궐국가라는 딱지가 붙을까봐서이다. 대한민국은 수출과 관광을 통해 국가경제를 지탱하고 있다. 이번 메르스 사태로 국가 브랜드에 큰 상처를 입게 될까봐 걱정이다. 이제라도 상처 치료보다 후유증을 어떻게 치유할 것인지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 /송덕진 극동미래연구소장, 휴먼디자이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