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의 1.3배 달하는 긴 철도, 산악 지형, 물속 연결 이용 위협적”
김정은 29회 참관 ‘핵어뢰’ 과시 “초강력 방사능 해일로 파괴·소멸”
“저수지·사일로 등 감시망 피하고 허점 노린 무기체계 지속 등장”
[미디어펜=김소정 기자]북한은 지난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포함해 총 70여발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했고, 올해 들어서도 ICBM 2회를 포함해 10차례 무력도발을 벌이는 가운데 산악지대에 숨은 열차, 저수지, 사일로, 수중 발사까지 다양한 미사일 발사 플랫폼을 과시하고 있다. 

미국의 미사일방어시스템이나 조기경보레이더 등을 피하고 상대방에 대한 혼선을 일으켜서 북한의 기습공격을 성공시키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 특히 열악한 도로 사정에 비해 남한의 1.3배에 달하는 긴 철도와 산악 지역, 연결돼 있는 물속을 이용한 것이어서 위협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북한이 24일 수중 핵폭발 시험을 단행했다고 밝히면서 공개한 무인 잠수정도 은밀한 기습공격에 맞춘 것이다. 북한 노동신문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직접 지도로 21~23일 핵무인수중공격정은 80~150m 심도에서 59시간 12분간 잠항해 적의 항구를 가상한 목표점에 도달해 수중폭발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군당국이나 전문가들은 러시아의 전략 핵어뢰 ‘포세이돈’을 벤치마킹한 수증 드론 형태의 ‘핵어뢰’로 평가하고 있다. 북한의 이번 핵어뢰 훈련은 한미 쌍룡훈련에 참가하기 위해 미 강습상륙함인 마킨 아일랜드함 입항에 맞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평가되는 동시에 기습타격 능력을 과시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 북한 노동신문은 지난 21~23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핵무인수중공격정' 수중폭발 시험과 전략순항미사일 핵탄두 모의 공중폭발시험을 각각 진행했다고 24일 밝혔다. 2023.3.24./사진=뉴스1

북한은 “수중핵전략무기의 사명은 은밀하게 적의 해안, 항, 선박 등 작전수역에 잠항해 수중폭발로 초강력 방사능 해일을 일으켜 적의 함선 집단들과 주요 작전항을 파괴 소멸시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최일 잠수함연구소장은 “59시간 항해라면 재충전 기능은 없는 배터리 항해로 보인다. 저속 3노트로 기동한다고 해도 1800마일 항해가 가능하므로 북한 해역에서 부산항까지 기동할 수 있는 거리”라며 “핵어뢰는 핵무기를 탑재하고 목표 위치로 가서 폭발만 하면 되므로 기능면에서 실현하기 쉬운 기술”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최 소장은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처럼 발사관 크기 안에서 핵무기를 소형화해야 하는 것과 달리 핵어뢰는 상대적으로 핵무기 탑재도 쉽다고 할 수 있다”며 “러시아 포세이돈 핵어뢰는 약 100톤 크기이며, 핵무기를 장착하고 핵추진으로 무한대 항해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북한이 핵어뢰 훈련 기간인 22일 발사한 전략순항미사일도 마찬가지이다. 순항미사일은 지상이나 해수면 수m 상공에서 바짝 붙어서 날 만큼 저고도로 비행하기 때문에 레이더 등에 의한 탐지·추적이 쉽지 않다. 

이번에 북한은 50~200m 정도로 저고도 비행할 수 있는 전략순항미사일이 600m 상공에서 공중폭발했다고 밝혔다. 북한은 또 이번에 화살-1형과 화살-2형을 공개해 전략순항미사일을 다종화하고 있음을 과시했으며, 실전화를 진행 중인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지난 2021년 9월 열차 안에서 탄도미사일을 발사했을 때 처음엔 과소평가하는 시각도 있었다. 경로가 노출된 철도는 쉽게 요격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북한은 지난해 1월에도 ‘북한판 이스칸데르’인 KN-23 미사일을 철로 위 열차에서 발사했다. 북한은 산악지대가 많은데다 남한의 1.3배에 달하는 긴 철도가 있어 위장에 효과가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또한 북한은 지난해 10월 저수지에서 잠수함탄도미사일(SLBM)을 발사해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경우로 평가받았다. 이에 대해 우리의 미사일 요격체계인 ‘킬 체인’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란 전문가 분석이 나왔다. 특히 북한 전역에 1700여개의 인공호수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북한이 감시망을 피하기 위해 골몰하고 있는 점도 감지된다. 

   
▲ 북한 노동신문이 21~23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핵무인수중공격정' 수중폭발시험과 전략순항미사일 핵탄두 모의 공중폭발시험을 각각 진행했다고 밝혔다. 2023.3.24./사진=뉴스1

여기에 북한은 지난 19일 숲속 지하에 매설한 사일로에서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 북한은 발사 다음날 노동신문을 통해 구체적인 설명없이 사진을 통해서만 간접적으로 사일로 발사를 최초 공개했는데, 미사일 발사 때 생긴 화염이 V자 모양으로 솟구쳐 원통형 사일로로 추정됐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그동안 미사일 발사 플랫폼을 다양화한데 이어 핵어뢰까지 공개한 것에 대해 생존성과 보복능력을 과시한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핵어뢰를 공개하면서 김정은 위원장이 29회 참관한 사실을 밝힌 것은 ‘비장의 카드’로 준비해온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북한이 2월 이후 공개한 무기 발사는 대부분 한미연합훈련 대응 차원에서 전개되는 무기나 훈련 성격에 맞춰서 허점을 노리는 무기체계를 동원한 특징이 있다”면서 “앞으로도 생존성과 보복능력에 초점을 맞춘 무기체계가 지속적으로 등장할 가능성이 보인다”고 말했다. 

홍 연구실장은 “북한이 공개하는 모든 무기 발사가 실전훈련 중심이고, 핵무기 능력을 포함하고 있다”고 강조하고, “3월 말 미 해군의 핵추진 항공모함인 ‘니미츠’가 부산에 입항할 때에도 북한은 이에 대응한 무기발사 훈련을 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