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감원장, 1월말 "증권사 성과보상 체계 검토 필요"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금융당국이 국내 증권사들 일부의 성과급 보수 체계 등을 모니터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후폭풍이 예상된다. 윤석열 대통령의 ‘은행권 돈 잔치’ 논란이 증권사 성과급 이슈로 옮겨 붙는 양상이다. 특히 작년엔 증권사들 대부분이 악화된 실적 성적표를 받아들었고,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리스크로 유동성 지원을 받은 사례가 있었음에도 일부 임직원이 고액 성과급을 수령했다는 점은 논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금융당국이 국내 증권사들 일부의 성과급 보수 체계 등을 모니터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후폭풍이 예상된다. /사진=김상문 기자


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이 최근 국내 증권사들의 성과급 체계에 대해 검토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부동산 PF 리스크’로 인해 유동성 지원을 받은 증권사들이 주된 대상이다. 당국은 이들 증권사의 보수 체계와 성과급 관련 자료들을 제출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증권사들은 지난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비약적인 실적성장을 기록했지만 이후 다시 실적이 악화되며 힘겨운 시기를 보내고 있다. 특히 작년엔 실적 부진에 덧붙여 유동성 지원까지 받아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작년도 국내 증권사 58개의 당기순이익은 전년(2021년) 대비 무려 50.3% 급감했고, 자기자본이익률은 2021년 12.5%에서 작년 5.8%로 급전직하했다.

문제는 이러한 상황에서도 증권사 주요 임직원들은 여전히 고액연봉과 성과급까지 챙겨갔다는 점이다. 심지어 정일문 한국투자증권 대표(약 55억원),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대표(약 51억원), 정영채 NH투자증권 대표(약 24억원) 등 주요 인사들의 연봉은 전년대비 10억원에서 많게는 30억원까지 늘어난 모습이다. 

또 프라이빗뱅커(PB)와 투자은행(IB) 부문에서도 전년 대비 크게 늘어난 보수를 받은 임직원들이 존재한다. 심지어 각사 대표보다도 많은 보수를 받은 직원들도 있다. 이는 ‘성과급 이연제’ 때문인데, 작년 연봉에 전년도 성과가 반영된 결과다.

따지고 보면 연봉 인상의 ‘근거’는 존재하는 셈이지만 문제는 일부 증권사들이 부동산 PF 리스크로 유동성 지원을 받았다는 데 있다. 특히나 윤석열 대통령이 시중은행들의 ‘돈 잔치’ 관련 언급을 하고 난 이후이기 때문에 도덕적 해이 논란이 불거지는 맥락이 형성된 것이다. 이미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지난 1월말 금감원 임원회의에서 증권사의 성과보상 체계의 ‘적정성’에 대해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한 상태다.

국내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지금으로썬 당국이 성과급 체계를 검토하는 수준이지만 앞으로 비슷한 움직임이 금융권 전반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