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 이복현 금감원장이 최근 불거진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 창구 매물폭탄 사태와 관련해 "지위고하나 재산의 유무 또는 사회적 위치 고려 없이 신속하고 엄정하게 조사하겠다"고 말했다.

   
▲ 이복현 금감원장(사진)이 최근 불거진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 창구 매물폭탄 사태와 관련해 "지위고하나 재산의 유무 또는 사회적 위치 고려 없이 신속하고 엄정하게 조사하겠다"고 28일 말했다. /사진=금융감독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28일 서울 중구 미래에셋증권 본사에서 열린 '고용노동부·금융감독원 퇴직연금사업자 현장 방문 간담회'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렇게 밝혔다.

이 원장은 이번 사태의 배경인 주가조작 등과 관련해 증권사 오너 등을 조사할 계획이 있는지를 묻자 "불공정 거래에 대한 엄정한 대응은 시장 확대를 위한 신뢰성 확보에 기본적인 요소"라고 답변했다.

이번 사태에서 김익래 다우키움그룹 회장은 다우데이타 보유 지분을 폭락 직전 처분해 의혹이 일고 있다.

이 원장은 "변동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이를 이용해 가짜뉴스를 만들어 유포하는 세력이나 유튜브 등으로 방향성을 과하게 제시하는 행위에 대해 꽤 오래전부터 눈여겨보고 있었다"며 "여러 조사와 패스트트랙을 이용한 수사에 대해 금융위, 금감원, 검찰을 비롯한 수사기관이 오랜 기간 종전보다 훨씬 더 높은 강도와 의지로 공조를 진행했다"고 언급했다.

또 이번 폭락사태의 원인으로 지적된 차액결제거래(CFD·Contract for Difference) 관련 미비점도 보완해 나가겠다고 예고했다. 이 원장은 "특정 종목에 대한 상승이 있거나 하락이 있다고 해서 모든 종목을 잠재적 범죄자로 취급해서 다룰 수는 없다"며 "금감원은 수사기관이 아니라 정책기관으로, 감시시스템을 엄정하게 갖추는 것과 별개로 모든 것을 범법자 내지는 위법의 시각으로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CFD를 비롯한 여러 제도에 대해서는 작년부터 미비점에 대해 검토했고 2021년 이후 증거금 비율 등을 행정지도 한 뒤 감독규정 개정 등에 대한 검토작업이 있었다"면서 "CFD가 공매도를 대체한다는 우려가 있다는 걸 알고 있지만 현실화한 우려는 아니고 공시나 정보의 투명성 측면에서 지난해 말부터 꾸준히 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CFD가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 원장은 "증권사가 강한 마케팅을 하거나 인센티브를 주는 등 과열 경쟁한 건 사실"이라며 "이를 통제·관리할 수도 있지만 개별 증권사나 시장에서 자제해 줘야 하는 측면도 있다"고 언급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