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업 포기하고 나선 민간 전문가에 대한 흠집 내기 삼가야
   
▲ 대한민국을 ‘누구도 남을 위해 희생하지 않는 나라’로 만들고 싶은 것이 아니라면 본업도 포기하고 메르스 사태에 발 벗고 나선 이들의 희생과 헌신을 비난해서는 안 된다. 그것은 메르스 비극의 참상을 더 깊게 만들 뿐 어떤 이득도 없는 일이다. /사진=연합뉴스TV 캡쳐

[미디어펜=이서영 기자]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가 조금씩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사태가 완벽하게 끝나기도 전에 ‘남 탓 논란’이 시작될 조짐이다. 심지어 생업을 포기하고 정부를 도와온 민간전문가에 대한 폄훼까지 진행되고 있다.

30일 오전 한 인터넷 언론사는 메르스 사태 초기부터 즉각대응팀장을 맡아 헌신적으로 활약해 온 대한감염학회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에 대한 비판적인 기사를 게재했다. 덧붙여 “정부 지원으로 690억 원 규모의 연구를 진행 중”이라며 이미 해명된 논란을 재차 부추기기도 했다.

메르스 사태에 대한 일련의 대응에 문제점이 많았던 것은 사실이다. 보건복지부의 대응이 국민들의 기준에 부합하지 못해 큰 실망감을 줬던 것도 맞다.

다만 메르스 사태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애초부터 아무도 없었다는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이 전대미문의 질병에 대해서는 정부 당국자들도 의사들도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못했다. 매 국면마다 최선을 다해서 ‘할 수 있는 일들’을 하는 수밖에는 없었다.

안타깝게도 33명이나 되는 사망자가 발생했지만 그것 역시 ‘탓’을 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더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는 참사를 정부와 당국, 즉각대응팀 등이 막아낸 측면도 분명히 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을 ‘누구도 남을 위해 희생하지 않는 나라’로 만들고 싶은 것이 아니라면 본업도 포기하고 메르스 사태에 발 벗고 나선 이들의 희생과 헌신을 비난해서는 안 된다. 그것은 메르스 비극의 참상을 더 깊게 만들 뿐 어떤 이득도 없는 일이다.

김우주 교수의 690억 규모 복지부 연구용역에 대한 의혹 제기도 터무니없다. 이미 보건복지부는 690억 원에 대해 ‘신종인플루엔자 연구비’임을 분명히 하면서 메르스 사태와 신종인플루엔자 연구비는 “전혀 연관성이 없다”고 25일 밝히기도 했다. 김 교수는 연구사업단의 총괄 역할을 맡으면서 연구비를 집행하고 관리하는 업무를 맡았을 뿐이라는 것이다.

백신이나 세포치료제 개발, 사업단 기획 업무 등을 총괄적으로 수행한 것이 메르스 즉각대응팀장을 맡는 데 부적절한 이유가 될 수는 없다. 따라서 김 교수를 ‘정부 이해관계자’로 낙인찍어 비난하려는 처사는 부당하다. 정부와 조금도 연관이 없는 사람을 중용했다 한들 언론이 만족했을지도 의문이다. ‘전문성이 없는 사람을 납득할 만한 근거도 없이 데리고 왔다’고 비판했을지도 모를 일이다.

메르스는 정부와 온 국민들을 모두 당황하게 만든 ‘외부의 적’이었다. 그리고 외부의 적은 내부의 결속을 단단하게 만들어 주는 것이 보통이다. 메르스 사태에서도 대다수의 국민들은 정부에 최대한 협조하고 마스크를 쓰거나 예방수칙을 공유하는 등 자생적인 분위기 속에서 이 미지의 질병에 맞서길 선택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정부의 대응에 ‘무조건 반대’를 하며 사태를 어렵게 만든 것은 오히려 언론들이었다. 아니나 다를까 사태가 진정될 낌새를 보이자마자 이들 언론은 다시 한 번 정부 흠집 내기를 시작하려고 시도하는 중이다. 그러나 비판을 위한 비판은 아무 것도 바꿀 수 없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진정으로 메르스 사태의 건강한 종식을 원하는 것이라면 누구에 대해서든 흠집 내기식 비판은 삼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