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내 돌봄 기관과 연계, 협력체계 구축...센터 효율 높이는 업무 지원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경기도는 지역 내에 산재한 돌봄 기관을 연계해 돌봄 문제를 공동 대응하고,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아동돌봄광역지원단'을 지난 4월부터 본격 운영 중이다.

최근 맞벌이 가족이 늘어나면서 이들의 양육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다함께 돌봄센터', '지역아동센터' 등 돌봄 기관이 함께 증가하고 있고, 산재한 돌봄 서비스 간 통합‧조정 기능을 수행하는 시‧군 거점 아동돌봄센터도 확대 설치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아동 돌봄 현장에서는 센터의 업무를 좀 더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경기도내 지역 간 돌봄서비스의 편차를 해소하기 위한 '컨트롤 타워'의 필요성이 커졌다.

그래서 생긴 것이 바로 경기도 아동돌봄광역지원단(이하 지원단)이다.

지원단은 '경기도 아동돌봄 지원 조례' 제6조에 근거해, 도내 아동 돌봄센터들을 연계하고 광역 단위의 아동 돌봄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마련된 곳으로, 현재 경기도여성가족재단에서 맡아 수행 중이다.

   
▲ 경기도 아동돌봄센터 통합 워크숍/사진=경기도 제공


지원단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경기도 아동돌봄센터'에 대해 알아야 한다.

현재 경기도내에는 다함께돌봄센터(247개소), 지역아동센터(780개소), 작은 도서관(65개소) 등 다수의 돌봄 기관이 운영 중이다.

경기도는 시‧군별로 산재한 지역아동센터, 다함께 돌봄센터, 학교 돌봄센터, '초등 돌봄교실', '작은 도서관' 등 지역 내 다양한 유형의 돌봄 기관을 연계‧총괄하는 경기도 아동돌봄센터(이하 센터)를 지난 2021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센터는 시‧군별로 산재한 지역 내 돌봄 기관의 중심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시‧군 단위에서 각 기관 간 협력이 필요할 경우 이를 총괄한다.

경기도는 동 돌봄 사업의 중복 방지, 사각지대 해소, 아동 돌봄 총괄‧거점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해 지난해까지 광명, 여주, 파주, 화성 등 4개 시에 각 1곳씩 센터 4개소를 설치했다.

올해는 성남, 수원, 안양, 김포, 이천, 구리 등 6개 시가 참여해 10개소로 늘어났으며, 경기도는 매년 수요 조사를 통해 참여 시‧군을 확대키로 했다.

즉, 다양한 지역 내 돌봄 기관을 총괄하는 곳이 센터이고, 이런 시‧군별 센터를 총괄하는 역할을 하는 곳이 경기도 지원단인 셈이다.

지원단은 센터 사업기획 및 운영 매뉴얼 개발, 시‧군별 특성화 프로그램 개발 등 기존 시‧군 거점 센터에서 자체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업무를 지원한다.

또 도내 지역 간 자원‧정보 연계, 센터 종사자 교육 지원, 거점사업 운영 모니터링, 성과 평가 및 홍보 등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지원단은 현재 도내 10개 시에 한 곳씩 있는 센터와의 협력체계를 구축 중이다.

경기도는 지원단 본격 운영에 앞서 지난 4월 11일 도내 10개 센터 관계자 60여 명이 함께하는 통합 워크숍을 진행, 경기도-시‧군-지원단-센터 간 초등 돌봄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효과적인 거점사업 운영과 방안을 모색했다.

지원단 운영에 따라 경기도는 전문지식과 경험을 활용한 지원 기능을 강화해 운영 매뉴얼 개발, 운영지원‧평가, 특화사업 개발‧종사자 및 부모 교육 지원 등 광역 역할을 수행하고, 시‧군은 지역 특성을 반영한 특화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이는 결국 센터의 역할 강화로 이어질 전망이다.

센터에서는 지역 돌봄 네트워크 구축‧운영 사업, 돌봄 자원 안내서 제작 및 배포, 돌봄 네트워크 소속기관 종사자 역량 강화 교육, 부모 및 지역 주민 대상 아동 양육 교육 진행, 돌봄 기관 연합 어린이날 행사, 학대 예방 교육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경기도는 센터를 중심으로 초등 돌봄에 대한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 연계 체계를 확립하고, 긴급 돌봄 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등, 아동 돌봄 서비스의 질적 향상 및 활성화를 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민선 8기' 공약사항으로, 현재 10곳인 센터를 오는 2026년까지 총 20개소로 확대한다는 목표다.

이를 통해 학교 돌봄(초등 돌봄교실, 방과 후 학교, 늘봄학교), 작은 도서관, 다함께 돌봄센터, 지역아동센터 등 지역 내 다양한 돌봄 사업 주체 간 네트워크 구성 및 상호협력 체계를 구축, 돌봄 사업 간 중복을 방지하고, 사각지대를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