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대학생 패키지 지원 발표 쇼케이스' 열고, 청년 종합 대책 발표
100만명, 1882억원 혜택 받는 청년 공약 1호 대학생 지원 방안 발표
총선 앞 청년 표심 집중 공략...20‧30 지지율 상승세 타며 민주당 역전
[미디어펜=이희연 기자]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청년 정책'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내년 4월 10일 치러지는 제22대 총선 '캐스팅보트'로 꼽히는 2030세대의 표심을 사로잡기 위한 전략적 행보로 풀이된다. 이런 가운데  국민의힘의 2030 지지율은 더불어민주당(민주당)을 제치고 상승했다. 

김 대표는 23일 오전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마포 H-stage'에서 진행된 '대학생 패키지 지원 발표 쇼케이스 종강PT'에서 중위소득 100% 이하 대학생에 학자금 대출 이자 면제해 주고 100만명 이상이 대학생들에게 약 1882억원의 혜택을 주는 등의 '청년 종합 지원 대책'을 직접 발표했다.  

양복과 넥타이를 벗어 던지고 캐주얼한 셔츠 차림으로 청년들과 마주 앉은 김 대표는 "학생들에게 당장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국가장학금과 근로장학금도 액수를 좀 더 늘리겠다. 그리고 등록금 외에도 학생들 생활의 어려움을 도와드릴 수 있도록 해서 생활비, 저리(1.7%) 대출 한도도 더 확대하겠다"라고 밝혔다. 

   
▲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가 23일 서울 마포구 홍대 한 소극장에서 열린 '해결사 김기현이 간다' 행사에서 '대학생 종합 지원' 방안 발표 후 학생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철규 사무총장, 장예찬 청년최고위원, 김 대표, 박대출 정책위의장, 이태규 의원. 2023.6.23./사진=연합뉴스


그는 "취약계층을 좀더 촘촘하게 지원하고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하겠다. 그것이 오늘 여러분에게 말하는 '대학생 학자금 패키지 지원안'"이라며 "중복을 포함한 100만 명 이상이 약 1,882억원의 혜택을 내년에 더 받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김 대표가 제시한 학자금 지원 방안은 ▲중위소득 100% 이하 이자면제 ▲국가장학금·근로장학금 지원대상 확대 ▲저리 생활비대출 한도 확대 등 크게 3가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중위소득 100% 이하에 해당하는 학생들에게 이자를 면제해 주는 방안이다. 약 45만명이 452억원의 혜택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음으로는 국가장학금 확대를 통해 67만명의 학생들에게 1140억원을, 근로장학금 확대를 통해 1만명에게 250억원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마지막으로는 27만명의 대학생들에게 40억원을 한도로 1.7% 저리 생활비 대출을 제공하는 방안이다. 

김 대표는 "기본적으로 대학생과 대학원생은 똑같은 차원은 아니지만, 별도 (지원) 절차를 보겠다"라며 "국가장학금 부정수급 예방책도 세울 것"이라고 말했다.

청년층을 겨냥한 김 대표의 행보는 취임 초부터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다. 실제로 김 대표는 취임 이후 ‘천원의 아침밥’, ‘누구나 토익 5년’, '예비군 훈련 참여 시 대학 출결 인정' 등 청년 지원 정책에 각별한 애정을 쏟아왔다. 

이런 가운데 국민의힘 20·30지지율은 상승세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등 여론조사 4개사가 지난 19~21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 결과를 22일 발표한데 따르면  국민의힘 2030 청년층 지지율은 모두 오름세를 보였다. 

20대 지지율은 직전 조사에서 국민의힘 20%, 민주당 19%를 보였던 것과는 달리 이번 조사에서는 국민의힘27%, 민주당 17%로 국민의힘이 10%p 앞섰다. 30대의 경우도, 직전 조사에서 국민의힘 20%, 민주당 23% 였던 것과는 달리 국민의힘이 30%, 민주당 27%로 지지율이 역전됐다. 

정당 지지도는 국민의힘 35%, 민주당 25%, 정의당 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은 직전 조사인 2주 전과 비교해 4%p 올랐고, 민주당은 1%p 내려 양당 지지율 격차는 10%p로 벌어졌다.

한편,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 면접으로 이뤄졌다.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응답률은 15.7%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미디어펜=이희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