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연구원 보고서 "금융권 전반, 건전성 나빠져"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국내 은행의 분기 말 연체율이 2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까지 오르는 등 금융권 전반의 건전성이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 국내 은행의 분기 말 연체율이 2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까지 오르는 등 금융권 전반의 건전성이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김상문 기자


이병윤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5일 '국내은행 건전성 위협요인·향후 대응 방안' 보고서에서 이같이 분석했다.

국내은행 분기별 연체율은 이미 작년 6월 말 이후 상승세로 돌아섰다. 지난 3월 말에는 0.33%를 기록해 2020년 6월 말 이후 가장 높은 수준까지 올랐다.

저축은행 연체율도 지난 3월 말 기준 5.1%로 2017년 6월 말 이후 5년 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신용카드사 연체율 역시 지난해 말부터 상승세로 돌아선 상태다.

최근 금융권 건전성 악화는 시장금리 상승으로 대출 금리가 큰 폭으로 오르면서 가계와 기업 등 차입자들의 이자 부담이 많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최근 들어 짧은 기간에 금리가 높은 상승률을 보여 기업들이 고금리에 적응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없었다는 것이다. 이전 수준으로 복귀하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리거나 복귀가 어려울 수 있어 한계기업의 부실화 가능성이 커졌다는 게 이 선임연구위원의 분석이다.

보고서에서 이 선임연구위원은 "최근 영업이익으로 금융비용도 감당하지 못하는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기업 비중이 점차 증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보다 높아졌다"면서 "고금리 상황이 지속되며 이들이 버티기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기업 비중은 지난 2014년 이후 26∼28% 수준을 유지했으나 2018년 이후 30%를 상회하더니 지난 2022년에는 35.1%로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30.9%)보다 높은 결과가 나왔다.

한편 중소기업·소상공인에 대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대출 만기 연장, 상환유예제도 중 상환유예가 오는 9월 종료될 예정이라는 것도 자산건전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꼽힌다.

금융위원회 자료에 의하면 지난 3월 말 현재 상환유예 지원 대상 여신은 전체 잔액(85조3000억원)의 7.7%인 6조6000억원으로, 상환계획서에 따라 오는 2028년 9월까지 분할 상환을 할 수 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이것만 보면 은행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수 있으나, 고금리 상황이 이어지고 경기회복이 늦어질 경우 부실이 이어질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면서 "국내 은행들은 그간 건전성이 개선돼왔기 때문에 건전성 악화라는 상황이 익숙하지 않겠지만, 수익이 많이 늘어난 지금이 오히려 리스크를 축소할 좋은 기회라는 점을 인식하고 건전성 관리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