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한미 금리격차 2.0%포인트 확대될 전망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4회 연속 연 3.50% 수준에서 동결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로 떨어진 데다 하반기 경기 반등이 불투명하다는 점 등을 고려해 금리를 올려 경기 위축을 부추기기보다는 금리를 현재 수준에서 동결해 물가와 경기, 환율 등을 좀 더 지켜보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신축 본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한은은 13일 오전 통화정책방향을 결정하는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재 연 3.50%로 동결했다. 한은은 2021년 8월부터 약 1년 6개월간 기준금리를 3.0%포인트 인상하다 올해 2월 3.50%로 동결했다. 이후 4월과 5월에 이어 이달에도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하면서 연속 4회 연 3.50% 수준의 금리를 유지하게 됐다.

한은이 금리를 동결한 가장 큰 배경에는 물가와 하반기 경기 전망 등이 자리한다. 여기다 최근 불거진 새마을금고의 예금 인출 사태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을 중심으로 한 2금융권 불안요인 등도 동결 결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달 2.7%를 기록하며, 21개월만에 2%대로 떨어졌다. 여전히 한은의 목표치(2.0%)를 웃도는 수준이지만, 뚜렷한 둔화세를 보이고 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7월(6.3%) 정점을 지나 올해 1월 5.2%, 2월 4.8%, 3월 4.2%, 4월 3.7%, 5월 3.3%를 기록했다. 한은은 물가상승률이 올해 중반까지 뚜렷한 둔화 흐름을 나타낼 것으로 보고 있다.

수출 부진에 따른 경제성장률 하향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점도 금리동결에 무게를 더했다. 정부는 지난 4일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며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6%에서 1.4%로 0.2%포인트 낮췄다.

국내외 주요 기관 등도 한국경제의 핵심 동력인 반도체 수출 부진이 경기 반등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들어 최근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을 줄줄이 하향 조정한 바 있다. 앞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지난달 1.6%에서 1.5%로, 국제통화기금(IMF)은 4월 1.7%에서 1.5%로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낮췄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지난 5월 1.8%에서 1.5%로 하향 조정했다.

다만, 한은이 이달 금리를 동결하면서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는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달 25~26일(현지시간) 열리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유력시된다. 연준이 시장의 예상대로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면 한국과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는 2.0%포인트까지 확대된다. 금리차가 확대될수록 외국인 투자자의 자금유출과 원화 가치가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