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사드 보복’ 조치 이후 6년만의 결정
연말 한중일 회의 개최 추진도 염두에 둔 듯
[미디어펜=김소정 기자]중국정부가 한국과 미국, 일본 등 78개국에 자국민의 단체관광을 추가로 허가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로써 중국이 한국에도 2017년 ‘사드 보복’ 조치 이후 걸어잠궜던 빗장을 6년만에 푼 셈이다. 

중국 문화여유부는 이날 “중국 공민의 해외 단체여행과 관련한 여행사 업무를 시범적으로 재개한 뒤 여행시장이 전반적으로 평온하게 운영돼 여행 교류·협력에 긍정적인 역할을 촉진했다”고 말했다.

앞서 중국은 지난 1월과 3월 60여개 국가에 대한 단체여행 제한을 풀면서 한국과 미국, 일본 등은 포함하지 않았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로 인한 ‘한한령’(限韓令)이 지속된 셈이다.

하지만 이번 조치로 중국이 한국에도 ‘우호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6월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의 우리정부에 대한 ‘망언 논란’ 이후 한중관계를 전망하기 힘들었던 것이 사실이다. 특히 1주일여 앞으로 다가온 한미일 정상회의를 앞두고 관계를 관리할 필요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미국 대통령의 휴양지이기도 한 캠프 데이비드에서 열리는 이번 한미일 정상회의는 다자회의 계기에 비정기적으로 열리던 것을 처음으로 단독 개최하는 것이다. 그런 만큼 3국 모두 “역사적 전기가 될 것”이라며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한미일 정상회의가 매년 최소 1회 정례 개최 합의를 공동성명에 담을 것이란 일본 교도통신의 보도도 나왔다.

   
▲ 사진=연합뉴스

사실 한중일 정상회의는 이미 1년에 한번씩 정례적으로 개최되어왔는데도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던 만큼 미국과 경쟁 중인 중국으로선 태도를 바꿔야 할 이유가 커졌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한미일 정상들이 한목소리로 중국에 대해 강경한 목소리를 낼 경우 중국 입장에서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최근 미국이 중국 당국과 고위급 대화를 이어오고 있으며, 그런 반면 미국은 최근 반도체 장비와 반도체칩 수출통제를 포함해 첨단기술에 대한 미국자본의 중국에 대한 집적투자를 제한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미국이 중국에 대한 투자흐름까지 직접 통제한 것은 처음인 만큼 중국이 호흡을 가다듬어야 할 필요도 있어 보인다.

중국이 강경으로만 치닫지 않고 외교에 유연성을 보이는 것이 맞다면 ‘전랑외교’를 진두지휘하던 친강 전 외교부장이 낙마하고 전임자였던 왕이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이 외교부장을 겸하게 된 것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박진 외교부 장관은 지난달 14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아세안 외교장관회의 참석 계기 왕이 부장과 45분간 회담을 가졌다. 

중국 당국의 한국에 대한 단체관광 허용과 함께 주한중국대사관은 10일 위챗 계정을 통해 중국 방문을 위해 상무·관광·승무 단수 및 복수 비자를 신청하는 한국인에 대해 연말까지 지문 채취 절차를 중단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에 대해 외교부는 중국과 인적교류의 중요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소통해왔다고 밝혔다. 안은주 외교부 대변인은 10일 정례브리핑에서 “한중 양국은 상호간 인적교류 활성화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 아래 관련 소통을 해온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외교채널을 통해 소통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