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에 대해 특정인에 환매 권유 배경 조사
[미디어펜=홍샛별 기자] 라임펀드 사태가 또 다른 국면을 맞았다. 특혜성 환매와 투자금 용처 등 각종 의혹이 다시 불거지면서다. 금융당국은 특히 김상희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 유력인사가 포함된 미래에셋증권의 2019년 9월 라임펀드 환매 과정이 ‘사실상 라임사태의 시작’이라고 보고 있다. 이전보다 광범위하게, 더욱 강도 높은 수사가 진행될 것으로 여겨지는 상황에서 금융감독원의 칼끝이 미래에셋증권을 향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 금융감독원이 라임펀드 특혜성 환매 의혹과 관련해 미래에셋증권에 대한 검사에 착수했다. /사진=미래에셋증권 제공


3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라임펀드 특혜성 환매 의혹과 관련해 미래에셋증권에 대한 검사에 착수했다. 

‘라임 사태’는 ‘단군 이래 최대의 금융 사기’로도 불리는 대표적 사모펀드 의혹 사건이다. 피해 규모만 1조6000억원에 이른다. 지난 2019년 7월 라임자산운용이 펀드 돌려막기로 수익률을 관리하고 있다는 의혹이 불거지며 시작됐다. 

당시 라임자산운용은 시중금리가 1~2%인 상황에서 5~8%가량의 수익률을 거둘 수 있다며 투자자를 모집했다. 한때는 6조원에 가까운 돈을 굴리며 국내 1위 헤지펀드 운용사로 등극하기도 했다. 하지만 펀드 돌려막기 의혹이 제기된 뒤 투자자들이 대거 환매 요청에 나섰고, 그해 10월 라임자산운용은 펀드 환매 중단을 선언했다. 이 사태로 개인투자자 4035명과 법인 581곳이 피해를 입었다. 

금감원은 미래에셋이 라임펀드의 환매 중단을 한 달여 앞두고 김 의원이 가입한 펀드(라임마티니4호) 가입자 16명에게 갑자기 환매를 권유하게 된 배경을 들여다보는 것으로 전해진다.

녹취, 통신자료, 내부 문서 등을 통해 미래에셋이 라임마티니4호 가입자들에게 환매를 권유한 방식과 환매 과정에서 라임 측과 어떠한 대화를 주고 받았는지 등을 집중 점검할 계획이다. 또 라임마티니 4호 이외의 다른 라임펀드 가입자에게도 환매를 권유했는지도 확인할 예정이다

라임자산운용 직원이 미래에셋에 ‘환매대응이 어렵다’는 사실을 미리 공유했는지, 사전 인지 여부에도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미래에셋증권 측이나 펀드 환매 수익자 측에서 ‘해결하라’는 압력이 있었는지도 다각도로 살펴본다는 방침이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27일 입장문을 내고 라임펀드 특혜 환매 의혹에 대해 “판매사가 아닌 운용사에 대한 사안”이라고 선을 그었지만 특혜 환매 의혹이 금감원 검사 대상이 되면서 진상 규명을 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미래에셋이 라임마티니4호 가입자 전원에게 동시에 환매를 권유한 것이 보기 드문 일”이라며 미래에셋의 해명에 석연치 않은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다.

[미디어펜=홍샛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