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질적 충전 인프라 확장 정책 전환 필요성 제기
충전시설 이용 불편 지적… 접근성 등 고려 구축
"무선충전·배터리 교환형 충전 등 신기술 개발 시급"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환경부가 지난 14일 충전기 사업자들과 충전기 공동이용(로밍) 협약을 체결함에 따라 회원가입 한 번으로 사실상 전국의 모든 충전기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전기차 이용자가 늘어남에 따른 전기차 충전 편의성 제고도 좋지만, 이용자 접근성 등에 따른 충전시설 확충 등이 우선이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 정부세종청사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전기차 완속 충전기./사진=유태경 기자


지난 2021년 국민권익위원회 등에서 설문조사한 전기차 이용자의 가장 큰 불편사항은 충전소 부족과 장시간 충전시간 소요 등 충전과 관련된 문제를 제기하는 비율이 가장 많았다.

국회입법조사처가 발간한 '2023 국정감사 이슈 분석 Ⅸ'에 따르면 환경부는 지난 3월 기준 총 22만6000기의 전기차 충전시설을 구축했다. 충전시설 용량 기준으로는 완속충전기가 20만여 기로 전체의 80%를,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가 각각 3만9000여 기와 5만7000여 기로 전체 40%를 차지했다.

지난 3월 기준 우리나라 전기차 누적 보급 대수 대비 충전기 수 비율은 2대 1(42만2000여 대, 22만6000기) 정도다. 이는 주요 국가와 비교해도 낮은 수준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한국환경공단이 발표한 '전기차 공공급속충전인프라 운영 효율화 및 운영 방향 로드맵 수립 최종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중국은 335만 대 51만 기, 일본의 경우 30만 대 2만9000기, 독일은 22만 대 2만1000기로 우리나라보다 충전기 수가 훨씬 적었다.

국회입법조사처가 발간한 '2023 국정감사 이슈 분석 Ⅸ'에서는 정부 전기차 충전시설 구축 운영과 관련해 그간 양적인 충전 인프라 확장에서 질적인 확장 정책으로의 전환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전기차 이용자의 가장 큰 불편사항인 장시간 충전시간 등 해결을 위해 무선충전과 배터리 교환형 충전 등 다양한 충전 신기술 개발·보급을 위한 정책 개발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급속 충전기의 경우 완충까지 약 30~60분, 완속 충전기의 경우 4~5시간이 걸린다.

또한 전기차 충전시설 성능 유지 등 전기차 충전시설의 유지·보수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도 했다.

중장기적인 전기차 충전시설 구축 관련 로드맵 수립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기존 충전시설은 충전시설 보급 확대를 위해 설치가 용이한 곳을 중심으로 전기차 충전시설이 구축돼 충전시설 이용에 불편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도심지역 등 지역적 배분, 이용자 접근성, 교통 수요 등을 고려해 전기차 충전시설 구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환경부는 "오는 2030년까지 전기차 420만 대와 충전기 123만 기 보급을 목표로 정한 만큼, 적재적소에 충전 기반시설을 설치하고 수요자 중심의 충전서비스 개선을 통해 전기차 보급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