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앞으로는 아파트 주택담보대출과 모든 주택의 전세대출도 모바일 대환대출 인프라를 통해 손쉽게 갈아탈 수 있게 된다.

   
▲ 사진=금융위원회 제공.


금융위원회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주담대·전세대출 대상 대환대출 인프라 구축방안'을 25일 발표했다. 개인 신용대출에 한정돼 있던 대환대출 대상이 주담대·전세대출로 확대됨에 따라 금융권 경쟁이 더욱 촉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주담대·전세대출 대상 대환대출 인프라는 올해 말까지 시스템 구축을 완료해 금융사별 전산시스템 개발 진행상황 등을 고려해 내년 1월부터 단계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기존 주담대·전세대출 갈아타기는 위해서 금융소비자는 가장 유리한 대출을 찾기 위해 각 금융회사 영업점을 직접 방문해 상담을 받아야 했다.

또한 신규 대출 약정 후 기존 대출을 상환하려면 추가로 기존 금융회사 영업점에 방문하거나 직원과 통화해 본인확인을 거쳐 총 상환금액 입금계좌 등을 신규 금융회사에 전달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금융위는 이 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대환대출 인프라를 구출할 예정이다. 우선 금융소비자가 앱으로 손쉽게 대출상품을 비교할 수 있는 19개(잠정) 대출비교 플랫폼과 32개(잠정) 금융회사가 참여하는 온라인 대환대출 시장을 조성하기로 했다.

또한 금융회사 간 금융소비자의 기존대출 정보를 주고받고 대출금 입금 등 상환 절차를 중계하는 대출이동중계시스템을 구축해 금융사고에 대한 우려 없이 신규 금융회사가 기존대출을 상환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금융소비자는 대출비교 플랫폼에서 여러 금융회사의 금리를 편리하게 비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대환대출에 따른 편익과 비용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각 대출비교 플랫폼은 마이데이터와 대출이동중계시스템을 통해 제공받는 기존 대출 정보를 활용해 중도상환수수료와 금리변동 시점 등을 반영한 연간 이자비용 절감액 등을 계산해 금융금융소비자에게 안내한다.

전세대출의 경우 금융소비자가 보증료를 포함해 대출조건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추진할 계획이다.

금융위는 "이번 인프라 구축으로 대출시장의 건전한 경쟁 촉진을 통해 금융소비자의 편익 제고와 금융회사·핀테크 기업의 상생 기반 조성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