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진 의원 "라돈 매트리스 480톤 등 상당수 폐기물 공기 중 노출"
한 장관 "라돈 침대 처리 방안, 환경부 중심 논의 후 마련할 것"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지난 2018년 전국적으로 이른바 '라돈 침대 파문'을 야기했던 유명 브랜드 침대 매트리스 사후처리와 관련해 "관리가 잘 돼 있다고 말씀드리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11일 국회에서 열린 환경노동위원회의 환경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한화진 장관은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환경노동위원회 환경부 국정감사에서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이날 국감에서는 라돈 매트리스 등 라돈 검출 제품 처리방안 등에 관한 내용이 화두에 올랐다. 2018년 대진침대가 판매하던 매트리스에서 1급 발암물질인 라돈이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돼 대규모 리콜 사태가 일었는데, 당시 매트리스뿐 아니라 쇼파, 토퍼세트, 온열 찜질기, 베개 등을 포함해 천연 방사성 제품 폐기물이 총 564톤(t) 발생한 바 있다.

이수진 의원은 "라돈 침대 사건 이후 천연 방사성 제품 폐기물을 어떻게 처리했는지 점검이 필요해 환경부에 자료를 요청했더니 깔끔하게 포장된 복원 사진을 자료로 제출했다"며 "하지만 충남 천안 대진침대 본사를 확인한 결과, 보관 중인 라돈 매트리스 480톤과 상당수 폐기물이 포장 없이 공기 중에 노출돼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 여름 폭우가 쏟아졌는데, 팔레트 없이 매트리스를 쌓아두면 빗물이 그대로 땅으로 침투해 토양 오염을 우려할 수밖에 없고, 환경부가 방수포라고 한 것도 그냥 비닐"이라면서 "부실 관리"라고 질타했다.

한 장관은 "현장 사진은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받아서 보낸 것으로 알고 있다"며 "현재까지 주민 건강에는 이상 없고, 계속해서 원안위와 지자체가 관리를 하고 있으며 환경부도 보다 철저히 관리할 수 있도록 대안 마련을 같이 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환경부는 지난해 라돈 침대 소각을 위해서 군산 지정폐기물 공공처리장 소각시설에서 라돈 침대를 시범 소각한 바 있다. 하지만 본 소각 준비 단계에서 지역 시민단체 등의 철회 요청으로 처리가 중단됐다. 지정폐기물에 해당되는 라돈 침대는 사업장에서 보관이 시작된 날로부터 60일까지 보관할 수 있는데, 현재 반 년이 훌쩍 넘었지만 지자체가 조치명령 이행기간 연장 협조 동의를 하지 않는 등 이유로 손을 댈 수 없는 상황에 처해 있다. 

이 의원은 "환경부는 처음 라돈 침대가 확인된 시점부터 지금까지 역학조사나 건강영향평가 검토 등 어떤 조치도 취하지 않았는데, 원안위 같은 자료만 가지고 관리가 잘 돼 있다고 볼 수 있냐"고 꾸짖었다.

한 장관은 "관리가 잘 돼 있다고 말씀드리진 않았고, 일단 주민 건강에 대한 부분에 있어서는 원안위와 지자체가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지자체 협의체를 구성해서 올해 2월부터 운영하고 있으며, 환경부와 폐기물 보관 광역시도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해서 처리 대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답했다.

처리 대안으로는 소각 후 재해를 매립하는 소각장 매립 방식 대신 라돈 폐기물을 보관하고 있는 지자체에서 미소각상태로 민간 매립장에 매립하는 방식을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장관은 "라돈 침대에 대한 처리 방안은 환경부가 중심이 돼서 계속해서 논의하고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