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동은 기자]국내 철강업계가 전기료 인상, 탄소세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포스코는 설상가상으로 창사 이래 첫 파업 위기에 맞닥뜨렸다. 

   
포스코 노동조합은 지난 10일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행위 조정을 신청했다. 열흘 간 진행되는 조정에서 노사가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 중노위가 조정 중지 결정을 내리고 노조는 조합원 투표를 통해 파업할 수 있다. 노조가 실제로 파업에 나설 경우 포스코 설립 55년 만의 첫 파업이다.

그동안 회사 측과 노조는 원만한 교섭 타결을 위해 협의를 진행해왔다. 회사 측은 이 달 초 진행된 교섭에서 기본임금 인상 16만2000원, 일시금 600만 원(주식 400만 원, 현금 150만 원, 지역사랑상품권 50만 원), 격주 주 4일제 도입을 제시했다. 

반면 포스코 노조는 기본급 13.1% 인상, 조합원 대상 자사주 100주, 성과 인센티브(PI) 제도 신설 등을 요구하고 있다. 김성호 포스코 노조위원장은 지난 10일 기자회견에서 “55년 동안 파업하지 않았다는 것은 직원들이 55년을 참아왔다는 이야기”라며 “포스코가 노동의 가치를 알아주지 않는다면 과감하게 노동 3권의 단체 행동권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회사와 노조 양측이 의견을 좁히지 못하고 시간이 흐를수록 갈등의 골은 더욱 깊어질 수밖에 없다. 처음이 어렵지, 포스코 노조의 파업이 연례행사처럼 굳어질 수도 있다.

현재 포스코를 비롯해 국내 철강업체들은 탈탄소 압박, 원자재 가격 급등, 일본·중국의 저가 철강재 공세 등으로 이중고 삼중고를 겪고 있는 상태다. 

한전은 누적 적자를 해소하기 위해 끊임없이 전기요금 인상을 외치고 있으며, 이 달부터는 철강제품을 유럽연합(EU)으로 수출할 때 탄소배출량을 의무적으로 보고해야 한다. 일본 철강기업은 엔저를 등에 업고 철강재를 한국 시장에 저가로 쏟아내고 있으며, 중국산 저가 철강재 문제는 하루 이틀 이어진 게 아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포스코는 신수요발굴과 저탄소 기술·소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2차전지 소재 등 비철강 사업도 육성하고 있다. 노사간 협력으로 위기 돌파에 나서도 부족한 상황에서의 노조 파업은 엎친 데 덮친 격이 아닐 수 없다.

‘산업의 쌀’인 철강을 생산해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 모든 산업에 소재를 공급하는 철강산업은 국가 성장의 기반이 되는 기간산업이다. 철강업계 맏형인 포스코의 공장이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가 아닌 인력으로 멈춰서는 일은 없어야 한다.

[미디어펜=이동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