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한가 사태 일파만파…초대형IB 인가에도 빨간불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키움증권이 계속되는 악재에 휘청거리고 있다. 직접적으로 타격이 된 것은 영풍제지 하한가 사태다. 이번 사태로 5000억원에 육박하는 미수금이 발생했는데, 이는 상반기 순이익(4258억원)을 위협하는 금액이다. 이미 상반기에도 한국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 주가폭락 사태에 연루됐던 터라 이번엔 리스크 관리 책임이 ‘황현순 사장 경질설’로까지 번진 상태다. 최근까지 기대했던 초대형 투자은행(IB) 인가 역시 불투명해졌다.

   
▲ 키움증권이 계속되는 악재에 휘청거리고 있다. 직접적으로 타격이 된 것은 영풍제지 하한가 사태다. /사진=김상문 기자


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영풍제지 하한가 사태의 여파가 일선 증권사들에게도 미치고 있다. 가장 많은 시선을 받는 곳은 역시 키움증권이다. 이번 사태로 키움 측은 무려 4000억원이 넘는 미수금 손실을 떠안게 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키움증권이 올해 상반기까지 시현한 영업이익은 약 5700억원 수준이다. 이때까지만 해도 ‘업계 1위’ 기록을 세우는 등 쾌조의 분위기가 형성됐다. 초대형 투자은행(IB) 인가나 ‘영업이익 1조원 달성’ 등의 기록도 가시권에 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영풍제지 미수금 손실이 4분기 실적에 반영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상황은 순식간에 반전됐다. 영풍제지는 7거래일 연속 하한가 행진을 멈췄지만 키움증권의 손실액은 4000억원 중반대로 추산되고 있는 형편이다.

이 금액이 키움증권의 4분기 실적에 반영될 경우 상반기 순익이 통째로 날아갈 가능성이 있다. ‘1조원 클럽 달성’이나 초대형IB 인가 역시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졌다. 오히려 지금은 황현순 사장의 경질설마저 돌고 있는 형편이다. 사전에 영풍제지 미수거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지 못했다는 책임이 결국 대표에게로 귀결되는 양상이다.

키움증권이 이번에 수천억원의 미수금을 떠안게 된 배경에는 영풍제지에 대한 증거금률을 낮게 설정한 점이 하나의 원인으로 손꼽히는 것은 사실이다. 키움증권은 영풍제지가 처음 하한가를 기록한 지난달 18일까지 증거금률을 40%로 유지하고 있었다. 반면 대다수 증권사들은 올해 초부터 지난 7월까지 영풍제지의 증거금률을 순차적으로 100%로 올려잡아 오직 현금으로만 매수할 수 있게 해뒀다.

키움증권은 이미 지난 4월에도 이른바 ‘라덕연 사태’에 한차례 휘말린 적이 있었기 때문에 이번 사태에 대한 비판 여론에서 자유롭기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단, 회사 측은 황 사장 경질설과 관련해서는 "아무것도 결정된 사항이 없다"는 말로 선을 그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