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국가 63→94곳, 지방 12→129곳 홍수특보지점 확대
하천 수위 10분마다 자동 분석하는 'AI 홍수예보체계' 구축
홍수특보지점 증가 따른 특보 발령·전파 체계 간소화·자동화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해가 거듭할 수록 잦은 집중호우 등으로 하천이 범람해 발생하는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내년에는 그간 홍수에 취약했던 지방하천 홍수특보지점이 올해보다 10배 이상 늘어난다.

   
▲ 홍수예보체계 비교./사진=환경부


환경부는 홍수 대응 강화를 위해 올해 대하천 본류 중심이던 75곳(국가 63곳, 지방 12곳) 홍수특보지점을 내년 5월부터 223곳(국가 94곳, 지방 129곳)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15일 밝혔다. 

올여름 전국 곳곳에서 하천 범람으로 인한 사고가 일어났다. 특히 지난 7월 폭우로 미호강이 범람하면서 충북 오송 궁평2지하차도가 침수돼 14명의 목숨을 앗아가는 참사가 발생한 바 있다.

환경부는 이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대하천 본류 중심에서 지방하천까지 홍수특보지점을 늘리기로 결정했다. 이와 연계해 인공지능(AI) 홍수예보체계도 올해 말까지 조기 구축한다. 

AI 홍수예보체계는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을 활용해 하천 수위를 10분마다 자동 분석하고, 위험 상황 예상 시 물리 모형을 이용해 검증하고 특보를 발령하는 체계다. 지난 8월 기준 최대 10년치 AI 학습 정보(DB)가 구축됐다.

현재 홍수특보 운영체계는 홍수통제소 담당자가 댐 방류량과 강우량 등 정보로 물리 모형(분석시간 5~10분)을 수립해 국가하천 위주로 75개 지점 하천수위를 예보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내년 AI 홍수예보체계가 새로 구축되면 기존 정보에 기상과 레이더 강수량 등 정보를 고려한 AI 모형(분석시간 3초)을 도출해 지류·지천을 포함한 223개 지점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와 함께 홍수특보지점이 내년부터 크게 늘어남에 따라 특보 발령·전파 체계도 간소화·자동화된다.

한 지점씩 특보 발령하던 기존 방식에서 한 지점 또는 다수 지점 동시 발령이 가능하도록 개선한다. 또한 주의보, 경보 순차적 발령에서 급격한 수위 상승 예상 시 바로 경보 발령이 가능하도록 조치한다. 전산시스템에 발령서, 전파내용 수동 입력이 아닌 자동 입력으로 변경한다.

환경부는 내년 홍수특보지점 확대·운영 계획에 대한 각 지자체 의견수렴을 위해 오는 16일부터 24일까지 낙동강 유역을 시작으로 총 4회에 걸쳐 유역별 지자체 설명회를 연다.

설명회는 환경부와 한강·낙동강·금강·영산강 4개 홍수통제소가 공동 주관하며, 홍수특보지점이 속한 전국 181개 시군구 관계자들이 참석한다.

환경부는 이번 설명회를 통해 내년 홍수예보 추진방안과 홍수특보지점 확대 계획을 소개하고, 홍수특보 확대 지점 및 지점별 정보 수신대상 지자체와 홍수특보 발령·전파 체계 개선방안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