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초 10명 안팎 개각·수석 5명 교체…참신성·확장성 관건
정치인 출신 장관들 총선 출마…한동훈 후임 검증 마무리
꽉 막힌 정국 풀 실마리 vs 민주당 비토로 경색 강화될까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다음달 초, 다음 주부터 대대적인 개각 및 대통령실 인적 쇄신에 들어간다. 내년 4월 총선 출마자들의 길을 터주기 위한 것으로, 19개 부처 장관 중 10명 안팎을 새로 임명하고 수석 6명 중 5명을 교체하는 등 사실상 '尹정부 2기'를 출범시킬 전망이다.

현재 윤 대통령을 둘러싼 정국은 복잡하다.

더불어민주당이 지난 6일 국회 본회의에서 강행 처리한 노동조합법 2·3조 개정안(노란봉투법) 및 방송법·방송문화진흥회법·한국교육방송공사법 개정안(방송3법)에 대해, 이번주 윤 대통령은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높다.

거부권 행사 시한이 이번주 주말(12월 2일)이라 윤 대통령이 그 전에 거부권을 행사하고, 이에 따라 민주당이 극렬하게 반발해 국회 예산 정국이 더 경색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김건희 여사 주가조작 의혹·대장동 50억 클럽 사건'에 대해 '쌍특검' 도입을 벼르고 있어,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에 대한 탄핵소추안까지 함께 강행해 여야 대치 상황이 극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총선 일정을 감안하면, 다음달 10여명의 장관 후보자들에 대해 국회 인사청문회를 열 수 밖에 없는 타이밍도 다음주 윤 대통령이 대대적인 개각을 결단하려는 배경으로 꼽힌다.

   
▲ 윤석열 대통령이 11월 14일 대통령실 국무회의실에서 2023년도 제47회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우선 국무위원의 경우,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올해 국회 예산안 심사를 마치고 국회로 복귀한다. 후임으로는 최상목 현 경제수석이 유력하다.

총선 출마 채비를 하고 있는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과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의 후임으로는 각각 심교언 국토연구원장과 김석호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등이 꼽힌다.

박진 외교부 장관은 유임 가능성이 높지만, 총선 출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황준국 주유엔대사·이정민 전 외교부 국제안보대사 등이 후임 후보군 물망에 오르고 있다.

여권에서 총선 역할론이 지속적으로 불거지는 한동훈 법무부 장관 또한 박성재 전 서울고검장·길태기 전 서울고검장 등 후임 후보군에 대한 검증이 최근 마무리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도 다음 주 개각 대상으로 거론되는 국무위원은 고용노동부·중소벤처기업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 장관에 이른다.

비례의원 출신인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임으로는 유병준 서울대 경영학과 교수가, 이종호 과기부 장관 후임자로는 이용훈 울산과학기술원 총장과 유지상 전 광운대 총장 등이 후보군에 꼽힌다.

한편 대통령실 주요 참모진으로는 김대기 대통령비서실장은 유임되고, 전체 수석비서관 6명 중 이관섭 국정기획수석을 제외한 나머지 5명이 전면 교체될 전망이다.

경제부총리로 가는 것이 유력한 최상목 경제수석의 후임으로는 박춘섭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이 꼽힌다. 홍보수석에는 이도운 현 대변인이 승진 발탁되고, 새 정무수석으로는 한오섭 현 국정상황실장이 승진 발탁될 전망이다. 신임 사회수석으로는 장상윤 교육부 차관이, 시민사회수석은 황상무 전 KBS 앵커가 유력하다.

또한 새로 마련되는 수석 자리는 2곳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경제수석실 업무를 분담해 따로 나올 과학기술수석비서관 자리를 비롯해, 사회수석과 분리해 복지수석이 신설될 것으로 보인다. 복지수석 자리에는 이기일 보건복지부 1차관이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이번 주부터 다음 주까지 윤 대통령은 인적 쇄신이든 정치적 결단이든 정국 운용의 묘를 보여야 하는 시점이다. 어떤 선택을 내릴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