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크 관리'와 '비계열사 협업' 등 건정성 유지
올해 안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측된다. 전 세계 금리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미국은 물론 유럽 역시 인하 행렬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그렇다고 저금리 시대로 당장 진입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미국의 경제전망이 경착륙보다는 연착륙 쪽으로 정리되고 있어 ‘중간 수준’의 금리가 꽤 길게 지속될 것으로 관측된다. 하지만 이에 대한 국내 금융권의 대비는 아직 미흡한 형편이다. 미디어펜은 앞으로 5회에 걸쳐 이른바 ‘중금리 시대’를 전망하며 업권별 상황과 재테크 전략 등을 탐색해 본다. [편집자 주]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갑진년(甲辰年) 새해를 맞이한지 불과 보름이 지났지만, 은행권에선 긴장감이 그 어느 때보다 높게 느껴진다. 경영환경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과 가계부채 부실이 부각되며 은행의 수익성 악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정부의 은행에 대한 과도한 이자수익 비판에서 시작된 ‘상생금융’ 압박이 거세지며 성장의 골든타임을 놓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 (왼쪽부터)신한·KB·우리·하나금융지주 전경./사진=각 사 제공.
 

한국금융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은행산업 및 금융혁신 동향과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국내 은행의 당기순이익은 지난해 21조6000억원보다 감소한 19조6000억원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신용위험 상승에 따른 대출 공급 축소와 시장금리 하락의 영향으로 순이자마진(NIM)이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면서다. 특히 코로나 기간 급증한 대출의 부실위험과 부도시 손실률(LGD) 상향 가능성 등은 대손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지적됐다.

지난해 은행의 고금리 ‘이자장사’를 강도 높게 비판한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에서 비롯된 상생금융안 갹출비용도 은행이 감내해야 할 몫이다. 

금융위원회는 지난달 자영업자‧소상공인의 고금리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2조원+α’ 규모의 ‘은행권 민생금융방안’을 발표했다. 개인사업자대출을 보유한 차주를 대상으로 1조6000억원 규모의 이자환급(캐시백)을 시행하고, 은행 개별로 난방비‧학자금 등 취약계층 지원에 4000억원을 투입하겠다는 내용이다.

이번 상생안의 지원 규모는 역대 최대로 재원은 18개 은행이 당기순이익 기준으로 배분해 부담한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에서 전체 지원액의 75%에 해당되는 1조5250억원을 분담한다. 

은행별로 △국민은행 3721억원 △하나은행 3557억원 △신한은행 3067억원 △우리은행 2758억원 △농협은행 2148억원이다. 금융위 “은행의 ‘건전성을 해치지 않는 최대한의 범위’에서 금리부담의 일정 수준을 직접적으로 낮출 수 있는 방안을 마련했다”고 설명했지만, 직접적인 재원조달에 나서야 하는 은행입장에서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이번 상생안 갹출비용에 따른 은행의 실적감소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증권가에선 민생지원방안 각출 비용에 따른 영향으로 주요 시중은행의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9~11%가량 감소할 것으로 보고있다. 

김도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민생금융지원을 목적으로 이익 일부가 갹출되면서 비경상적인 비용이 대규모로 발생하면서 2023년 4분기 실적은 컨센서스를 하회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녹록치 않은 경영환경에 금융지주들은 ‘리스크 관리’와 비계열사 ‘협업 및 인수합병(M&A)’ 추진 등을 통해 건전성을 유지하겠다는 목표다. 양종희 KB금융그룹 회장은 신년사를 통해 비은행 계열사의 선두권 도약을 위해 “‘투자운용, WM, 보험, 글로벌’ 4대 영역에서 고객과 시장의 신뢰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은 내실과 협업을 경영 키위드로 제시하며 “외부와의 제휴, 투자, M&A 등 다양한 방법으로 협업을 이뤄낼 것”이라고 했다.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 또한 “선제적 리스크 관리와 함께 비은행 포트폴리오 확충을 통한 경쟁력을 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