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보라 기자]  고금리 수신 상품으로 인한 이자비용 급증과 연체율 상승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된 저축은행들이 점포문을 잇따라 닫고 있다. 임대료, 인건비 등 비용 절감과 더불어 디지털 전환으로 비대면 금융서비스를 확대하고 점포를 줄여가는 모습이다. 다만 지점 축소로 고령층 등 금융취약계층의 금융 접근성이 떨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2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저축은행 본점을 비롯해 지점과 출장소를 포함한 점포 수는 지난해 9월 말 기준 280개다. 300개 이상을 넘겼던 2020년 12월 말과 비교하면 24개가 사라졌다.

2018년 312개였던 저축은행 점포 수는 해마다 줄어들며 2019년 305개, 2020년 304개, 2021년 294개, 2022년 283개까지 축소됐다.

   
▲ 사진=미디어펜


업계 자산규모 1위 SBI저축은행은 이달 말 서울 강남, 전북 전주지점을 각각 서울 삼성지점, 광주지점과 통합한 계획이다.

지난해에도 우리금융저축은행, BNK저축은행, KB저축은행, OK저축은행, 대신저축은행 등이 일부 지점을 통폐합하거나 이전하며 몸집을 줄여가고 있다.

점포 수가 줄면서 임직원 수도 감소했다. 지난해 9월말 기준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임직원수는 총 9984명으로 1년 전(1만288명)과 비교해 304명 줄었다.

금융당국은 올해부터 저축은행 영업구역 내 지점 설치 규제를 완화했으나 무용지물이 됐다. 기존에는 저축은행은 금융당국의 인가를 받아야 신규 지점을 낼 수 있었으나 지난 19일부터 △자기자본 요건 △법규준수 여부 △재무건전성 △증자 요건 등을 금융당국에 신고만 하면 지점 설치가 가능해졌다.

이 같은 규제 완화는 비대면 금융이 활성화되기 전에 필요했다는 지적이다. 현재는 디지털 전환으로 점포를 늘릴 이유가 없어졌다는 것이다. 저축은행업계는 약 10년 전부터 지점 설치 신고제를 요구해왔다. 또 현재 저축은행은 수익성 악화로 신규 지점을 설치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국내 79개 저축은행은 지난해 9월 기준 1413억원(누적기준) 당기순손실을 냈다. 지난해 1분기부터 3분기 연속 적자다. 분기 기준으로 저축은행의 당기순이익이 적자로 돌아선 것은 2014년 6월 이후 9년여 만이다.

같은 기간 연체율은 6.15%로 지난 2분기 5.33% 대비 0.82%포인트 뛰면서 건전성에 빨간불이 켜지자 여신 영업과 수신 영업 모두 줄이고 있다.

여기에 모바일뱅킹 등 금융 디지털화가 가속화된 영향도 있다. SBI저축은행, OK저축은행, 웰컴저축은행, 상상인저축은행 등 대형저축은행들은 모바일뱅킹을 자체 고도화하며 비대면 고객 유입을 늘리고 있다.

문제는 고령층 등 디지털 소외계층은 모바일뱅킹 이용이 어렵다는 것이다. 특히 저축은행은 특성상 타 금융권에 비해 고령층 고객 비중이 높은 편으로 점포 축소는 곧바로 소비자의 불편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금융 디지털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내점 고객도 줄어들어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통폐합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저축은행들은 디지털에 취약한 고객을 위해 이동식 지점을 운영하거나 앱에 간편모드를 도입해 디지털 금융격차 해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