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화 진전 따라 정권의 계획경제와 주민 사이 간극 커질 수밖에”
‘북한 경제·사회 실태 인식보고서’ 발간 비롯해 북에 정보제공 노력
[미디어펜=김소정 기자]문승현 통일부 차관은 21일 “현재 북한 전역에 400~500개의 장마당이 운영되고 있으며, 시장화로 인해 북한사회가 변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 차관은 21일 KTV국민방송에 출연해 “북한주민들 사이에서 일주일 중 6일은 자본주의에서 살고, 하루는 공산주의에서 산다는 말이 있다고 한다. 정부 시스템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됐고, 각자도생하는 사회변화의 흐름에 놓여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북한주민들의 국영시장에 대한 선호도가 10%라면 장마당에 대한 선호도는 90%가 넘는다”면서 “시장화를 통해 돈에 대한 인식이 커졌고, ‘돈주’(일반주민 출신 신흥 부유층)가 등장했다. 이에 따라 빈부격차가 심해지고 있고, 주민들 사이에선 ‘노동당보다 센 당이 장마당’이라는 얘기도 나온다”고 설명했다.

   
▲ 문승현 통일부 차관이 1일 북한이탈주민이 충남 예산에서 운영 중인 쪽파농장 을 찾아 대화하고 있다. 2024.2.1./사진=통일부

이어 “주민들이 장마당을 통해 식량과 생필품을 구입하는 것뿐 아니라 시장활동을 통해 여러 정보를 공유하고 확산되는 양상도 나타나고 있다”면서 “시장화 진전에 따라 정권의 계획경제 통제와 주민의 자유로운 시장활동 사이의 간극이 커질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문 차관은 “특히 젊은층의 인식이 달라졌다. 작년 국내에 입국한 196명의 탈북민 중 절반이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2030세대이다. 이들은 다른 세대보다 북한정권으로부터 혜택을 못받은 세대이다. 그런 반면 한국문화는 많이 접했다는 특징이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최근 통일부가 발간한 ‘북한 경제·사회 실태 인식보고서’에 대해 “느리지만 북한이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고, 북한의 정권과 주민들 사이에 괴리가 커지고 있다는 시사점을 얻었다”고 평가했다.

문 차관은 “올바른 대북정책과 통일정책을 세우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북한현실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통일부가 지난 10년간 북한이탈주민을 상대로 심층 면접하고 작년 1년간 연구기관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발표한 배경”이라고 설명하고, “정부 차원에서 북한 젊은층이 좀 더 목소리를 내고, 사회변화를 위해 노력할 수 있게 다양한 정보제공 등 열린사회를 만들어가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