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성동규 기자]건설사들이 지난해 급격한 금리 인상과 원자재 가격 상승 등에 따른 부동산 경기가 악화로 부도나 파산, 사업을 포기해 공사를 마치지 못한 사례가 속출해 보증 기관의 보증 사고액이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 부산의 한 아파트 건설 현장./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25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이 주택도시보증공사(HUG)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12월 말 기준 분양보증 사고액은 1조1210억 원이었다. 이는 국제 금융위기의 여파로 부동산 경기가 침체했던 2010년 이후 13년 만에 최대 규모다. 

분양보증은 시행사 또는 시공사가 부도·파산 등으로 공사를 마치지 못하면 HUG 주도로 공사를 계속 진행하거나 분양 계약자의 계약금과 중도금을 대신 지급하는 제도다.

최근 5년간 분양보증 사고를 살펴보면 2019년 1건(2022억 원), 2020년 8건(2107억 원)이었고 2021년과 2022년은 사고가 없었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14건의 사고가 발생해 사고액이 1조 원을 웃돌았다. 

특히 지난해 3월 말 기준 분양보증 사고는 1건(657억 원)에 불과했으나 9월 말에는 12건(9815억 원)으로 급증했다.

분양보증 사고가 발생한 지역은 경기 4곳(남양주, 파주, 평택, 부천), 대구 2곳(달서, 중구), 인천 2곳(부평, 중구), 울산 2곳(울주) 등으로 나타났다.

한국주택금융공사(HF) 사업자 보증 사고액도 지난해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사업자 보증은 주택 사업자가 분양주택이나 임대주택 건설을 위해 대출 받고자 할 때 지원되는 보증이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보증을 주로 다루는 HF는 대출 원리금 미상환, 주택 사업자의 파산·회생, 그 외 장기적인 휴·폐업, 장기 공사 중단 등이 발생한 경우를 사업자 보증 사고로 정의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HF 사업자 보증 사고는 11건(1791억 원)으로 2004년 3월 HF가 사업자 보증 업무를 시작한 이래 가장 큰 규모였다.

사고 발생 지역은 부산 3곳(사상구, 연제구), 서울 2곳(광진구, 관악구), 충남 2곳(논산), 울산 울주군, 경북 안동시, 경남 고성군, 강원 삼척시 등이었다.

양 의원은 "향후 부동산 시장 하방 리스크를 고려하면 사고액 증가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운 만큼 정부와 금융 당국은 부실 정리작업에 속도를 내고 금융기관 건전성 관리에 최선을 다하는 등 선제 대응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성동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