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경영, 지배구조 개선, 규제완화 주목해야"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최근 정부가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기 위해 마련한 '밸류업 프로그램'에 발맞춰 은행지주사의 재무적 가치에 대한 이해관계자 간 논쟁이 커지고 있다. 국내 4대(KB·신한·하나·우리) 은행그룹의 당기순이익, 시가총액 등 주요 재무적 지표가 글로벌 은행그룹보다 매우 낮은 까닭이다. 

이에 경영진은 가치경영에, 이사회는 지배구조 개선에, 정책당국은 규제완화에 각각 집중해 기업가치를 제고해야 한다는 평가가 제기된다. 

   
▲ 최근 정부의 '밸류업 프로그램'에 발맞춰 은행지주사의 재무적 가치에 대한 이해관계자 간 논쟁이 커지고 있다. 국내 4대(KB·신한·하나·우리) 은행그룹의 당기순이익, 시가총액 등 주요 재무적 지표가 글로벌 은행그룹보다 매우 낮은 까닭이다. 이에 경영진은 가치경영에, 이사회는 지배구조 개선에, 정책당국은 규제완화에 각각 집중해 기업가치를 제고해야 한다는 평가가 제기된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15일 한국금융연구원이 발간한 금융브리프 논단 '국내 은행그룹의 기업가치 제고 방안'에 따르면 최근 정부가 발표한 밸류업 프로그램은 경영진이 주식의 가치를 높여 투자자인 주주에게 보상하는 '주주자본주의'의 행태를 띠고 있다. 밸류업 프로그램이 주로 시장에서 바라보는 기업의 가치인 '주가순자산비율(PBR)'에 방점을 두는 까닭이다. 

하지만 국내 은행지주사의 재무적 지표는 비슷한 규모(기본자본, tier 1 기준)의 글로벌 금융권 대비 매우 낮은 편이다. 

4대 지주사를 놓고 보면 지난해 당기순이익 총합은 15조 1000억원으로 글로벌 은행그룹의 67% 수준에 그쳤다. 시가총액 합계도 지난해 말 65조원을 기록한 반면, 글로벌 은행그룹은 247조 8000억원을 기록해 4배 이상 높았다. 순자산비율(PBR)도 국내가 0.38배에 그친 반면, 글로벌 은행그룹은 1.17배에 달했다. 

이처럼 낮은 재무적 지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일까. 논단을 집필한 김우진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은행지주사의 이해관계자인 경영진·이사회·정책당국이 각자의 위치에서 선의의 소임을 다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우선 경영진에게는 '수익성 중심의 가치경영'을 실천할 것을 제언했다. 경영진이 위험가중자산(RWA)을 관리하면서 수익성 중심의 경영을 추진할 수 있는 지가 주주가치 제고의 관건이라는 분석이다. 또 자본을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자본예산 정책'도 눈여겨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사회에게는 '지배구조 개선'에 집중할 것을 제언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이사회는 경영진 성과평가·보상 체계를 주주와 유인부합적으로 만들고, 주주로부터 위임받은 권한을 적극 활용해 중장기 경영계획 및 경영진 승계 과정을 주도적으로 설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단기적으로 비용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인사관리, 평가·보상, 조직체계 등을 선진적으로 구축해 기업의 지속 성장을 이끌어내야 한다는 설명이다.

정책당국에게는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규제완화'를 주문했다. 금융당국이 어떤 관점을 취하느냐에 따라 은행지주사의 미래와 기업가치에 영향을 주는 까닭이다. 실제 금융연구원이 분석한 'OECD 회원국 은행그룹의 PBR 결정요인 분석 및 시사점'에 따르면 국내 은행그룹의 PBR이 OECD 국가 소속 은행그룹의 평균치보다 낮은 이유로 '규제 및 감독환경의 차이'를 꼽고 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모든 규제를 철폐할 수 없지만 불필요하거나 시대정신과 동떨어진 규제는 과감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며 "국내 은행그룹에 대한 규제의 방향성은 은행그룹이 '하나의 단일체'로 작동해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도록 전업주의 하에서 허용되는 최대 수준의 규제 완화를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표적으로 지주 산하 동종업종 자회사에 대해서는 자회사 간 IT시스템의 물리적 통합을 허용해 비용을 절감하게 하고, 은행부문에는 투자일임업을 허용해 자산관리(WM) 서비스 수입을 늘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주주자본주의를 근간으로 이해관계자 자본주의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이해관계자들은 논의의 장을 열어두고 계속 의사소통할 필요가 있다"며 "지속 가능한 기업가치는 금융회사, 이사회, 투자자, 정부 등 주요 이해관계자가 선의의 역할을 다하는 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