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태윤 정책실장 "우리기업 의사결정하는데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어"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대통령실은 13일 일명 '라인야후' 사태와 관련해 "네이버와는 계속 소통해왔고 그 소통이 계속 이뤄지는 속에서 네이버가 가장 원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며 "일부에서 나오는 것처럼 반일이나 정치 이슈로 가져가는 것은 오히려 우리기업이 의사결정하는 데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을 만나 '우리 정부가 이 문제에 대해 외교 사안이 아니라는 입장을 고수해왔다'는 지적에 이같이 답변했다.

특히 이 고위 관계자는 "혹시라도 불리한 점이 있거나 이런 부분이 있을 수 있는 점에 대해 계속해서 일본과 확인해온 과정에 있다"며 "그런 점에서 일종의 정치프레임이 기업 의사결정에 작용하지 않도록 부탁드린다"고 당부하고 나섰다.

그는 "확인 가능한 부분은 당연히 일본과 협력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협력관계에 의해 이뤄진 것"이라며 "네이버가 '지분매각을 하겠다, 안하겠다' 저희에게 말한건 아니다"라고 확인했다.

   
▲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1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브리핑하고 있다. 2024.1.18 /사진=연합뉴스


또다른 관계자는 이날 라인야후 사태에 대해 "최근 매각 여부에 대해서는 지분 매각을 포함해 여러 가능성을 놓고 소프트뱅크와 네이버가 협의중이라고 네이버가 밝혔지만 아주 상세한 내용은 네이버 이익을 보호해야 하기 때문에 밝히기 어렵다"고 말을 아꼈다.

그러면서 "오늘 요청 드린 것은 네이버가 좀 더 진실되고 구체적인 입장을 주는 것이 정부가 네이버를 돕는데 최대한 유리할 것이라는 것"이라며 "(정부는) 네이버의 구체적 입장을 기대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오후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정치권에도 초당적 협력을 요구한다"며 "일각에서 반일을 조장하는 정치 프레임이 국익을 훼손하고 우리기업 보호하고 이해관계를 반영하는데 도움 안된다"고 지적했다.

성태윤 실장은 "정부는 우리기업이 해외로부터 어떤 불합리한 처분이나 불리한 여건 없이 자율적으로 의사결정할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할 계획"이라며 "우리 기업 의사에 조금이나마 반하는 부당한 조치에는 단호하고 강력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성 실장은 정부 입장에 대해 "무엇보다 우리 국민과 기업의 이익을 최우선에 놓고 필요한 모든 일 한다는 게 일관된 입장"이라며 "이런 원칙 하에 정부는 지금까지 네이버 입장을 최대한 존중해 그동안 정부 대응에 반영해왔고 관련해 네이버에 추가적 입장 있다면 그에 대해서 정부 차원에서 모든 지원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간 대응 경과, 정부는 그간 네이버와 긴밀히 협의하고 네이버 의사 확인 뿐 아니라 이에 입각해 대응하기 위해 노력해왔다"며 "이와 관련해 외교 채널을 통해 일본 정부 입장도 확인해 왔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