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북한이 오는 10월10일 노동당 창건 70주년 기념일을 앞두고 장거리 로켓 발사를 예고한데 이어 4차 핵실험을 시사하는 듯한 발언까지 내놓았다.

북한 원자력연구원장은 15일 조선중앙통신 기자와의 문답식 기사를 통해 “경제건설과 핵무력 병진노선에 따라 우라늄농축공장을 비롯한 영변의 모든 핵시설, 흑연감속로가 재정비돼 정상가동을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원자력연구원장은 이어 “조성된 정세의 요구에 맞게 각종 핵무기들의 질량적 수준을 끊임없이 높여 핵 억제력 신뢰성을 담보하기 위한 연구와 생산에서 연일 혁신하고 있다”면서 “미국과 적대 세력들이 무분별한 적대시정책에 계속 매여달리면서 못되게 나오면 언제든지 핵뢰성으로 대답할 만단의 준비가 돼있다”고 강조했다.

하루 전인 14일에도 조선중앙통신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개발국 국장 대답’을 통해 내달 장거리미사일 발사를 시사했다.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장은 “광명성-3호 2호기를 쏴올려 주체조선의 위력을 만방에 떨친 과학자, 기술자들이 당 창건일 일흔돌을 더 높은 과학기술성과로 빛내기 위해 투쟁을 벌리고 있다”면서 “새로운 지구관측 위성개발을 마감단계에서 다그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위성개발의 개로운 높은 단계인 정지위성에 대한 연구 사업에서도 커다란 진전을 이뤘다”고 말했다.

   
▲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2012년 12월 보도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발사되고 있는 북한 장거리 로켓 은하3호./사진=연합뉴스

이에 대해 정통한 대북소식통은 “북한이 자신들이 주장하는 인공위성인 장거리미사일 발사 실험 준비가 완료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이 소식통은 앞서 ‘미디어펜’에 “북한이 오는 10월8일 장거리미사일을 발사할 계획으로 전문가와 군인, 노동자까지 포함된 결사대를 조직했다”고 전한 바 있으며, 당시 “북한이 2000여명 정도 되는 ‘인공위성을 성공적으로 발사하기 위한 결사대’를 조직했으며, 당 창건 기념일 이틀 전에 사거리 1만㎞ 이상 되는 장거리미사일을 쏘아올리기로 했다”고 말했다.

소식통은 “지금은 북한이 인공위성 감시를 피해 지하에서 동체 조립작업을 진행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발사가 임박해지면 발사체를 지상으로 옮겨서 동체를 장착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발사체에 동체를 장착하고 사전 점검을 해야 하는 데다 연료 주입에도 꼬박 하루가 걸리는 만큼 1주일 전에는 위성으로 발사체를 확인할 수가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 정부는 이날 북한의 탄도기술을 이용한 발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명백한 위반이기 때문에 국제적 협력을 통해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노광일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어떠한 발사도 유엔 안보리 관련 결의의 명백한 위반이므로 안보리 차원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안보리 이사국을 포함한 관련국들과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노 대변인은 “북한의 탄도 미사일 발사는 중대한 도발행위이자 군사적 위협이며 탄도 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모든 행위를 금지하고 있는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행위”라고 규탄했다.

북한은 지난 2013년 2월 12일 진도 4.9규모의 3차 핵실험을 감행, 당시 국방부는 북한의 핵실험이 6~7kt의 파괴력을 보였다고 추정했다. 이에 따라 2013년 3월 유엔안보리는 대북 추가제재 결의안 2094호를 채택했다.

추석 계기 이산가족상봉 행사가 예정돼 있는 등 모처럼 남북 간에 조성된 화해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는 북한의 행동은 당장 이달 말 열릴 미중 정상회담과 유엔총회 등을 겨냥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유엔총회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연설이 예정돼 있으며, 박 대통령이 북한에 대해 핵 개발 프로그램 포기를 강력하게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북한은 지난 8월25일 남북 고위 당국자 접촉을 통해 합의한 내용은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이달 초 한중 정상회담에 이어지는 미중 정상회담과 내달 16일 한미 정상회담 등 한반도를 둘러싼 주요국가 정상들의 외교 일정을 염두에 두고 자신들의 존재감을 과시하려고 한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