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태우기자]국정감사에서 언급된 현대차 국내 급발진 차량 1위로 언급되었지만 판매량 대비 신고건수를 간과했다는 여론이다.

강동원 의원은 17일 열린 국토교통부 국정감사에서 2010년부터 올해 7월 말까지 국내 급발진 차량으로 신고 된 차량 총 482대 가운데 신고차량 43.6%(210건)가 현대차 제조 차량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 [국감]국내 급발진차량 발생 1위 현대차…또 다시 시작 된 마녀사냥/미디어펜DB

기아자동차는 16.2%(78건)으로 2위를 기록했고, 르노삼성 차량이 14.7%(71건)로 뒤를 이었다.

국내 급발진 신고 차량 가운데 ‘에어백 미전개 차량’도 43.4%(209대)로 나타났다. 현대차 88대, 기아차 33대, 르노삼성 33대, 쌍용차 17대 순이다. 벤츠 4대, 토요타 5대 등 수입차도 포함됐다.

신고된 국내 급발진 차량은 2006~2010년 제작된 차량이 전체의 40.5%(195대), 2011~2014년 제작된 차량이 전체의 41.7%(201대)를 나타냈다.

연료기관별 현황을 살펴보면 휘발유 49.0%(236대), 경유 24.3%(117대), LPG 24.1%(116대) 순이다.

강동원 의원은 “급발진 차량 중 현대차가 많은데 이 이유가 자동차 구조적 문제인지 제작상의 결함 때문인지 속시원히 밝혀야 한다”며 “급발진 차량 가운데 에어백 미전개 차량이 많은 만큼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문제는 강동원 의원이 수치상으로 지적한 부분이 차량의 절대적인 품질기준은 아니라는 것이다.

강동원 의원이 지적한 부분이 문제가 있긴 하지만 이것으로 차량 내구성을 구분하는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 없고 형평성에 어긋난다. 강동원의원이 지적한 것은 단순 발생건수다. 하지만 이는 차량의 판매량이 늘어나면 경우의 수가 늘어나고 발생 건수 또한 늘어날 수 있다.

수지다무녕일(樹枝多無寧日)이라는 말처럼 판매량 1위를 달리는 현대차. 여기서 발생한 다양한 경우의 수에서 많은 사례들이 나오게 되는 것은 당연한 이치다. 이에 업계의 여러 사건사고에 현대차의 이름이 거론되는 것은 당연하다는 시각이 일반적이다.

업계 일각에선 이렇듯 형평성을 고려하지 않고 발생건수로만 지목해서 문제를 삼는 것은 자율시장경제의 저해를 초래하고 특정기업에 죄를 뒤집어씌우는 마녀사냥과도 같다는 지적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