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협력 가속, 창조경제혁신센터 중심 2020년까지 1만개 구축

[미디어펜=김세헌기자] 경기도 화성에서 세라믹 등 산업용 도자기를 생산하는 에이엔텍은 관련 시장에서 세계 100대 기업 중 하나인 일본 교세라와 경쟁 관계에 있는 회사다. 한때 엔저현상으로 인해 영업이익율이 12%에서 6% 이하로 크게 떨어지는 등 수출에 적잖은 타격을 받았다.

여기에 품질, 설비가동률 등 운영정보를 현장근로자의 보고에 전적으로 의존한 탓에 생산성마저 점점 떨어지는 상황에 처하게 됐다. 이후 에이엔텍은 생산현장 정보를 실시간으로 취득할 수 있는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에 눈길을 돌렸다.

   
▲ 산업부는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중심으로 대기업과 협력해 오는 2020년까지 1만개 구축사업을 진행한다. / 미디어펜 자료사진

에이엔텍은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을 통해 커다란 문제점을 하나 발견하게 됐다. 바로 설비가동률과 불량률 등 중요한 정보가 정확하기 보고되지 않고 있었던 것이다. 이는 생산관리시스템(MES) 도입으로 생산 정보의 수집·활용, 품질 관리, 스마트폰을 활용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이후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산성향상, 원가절감, 품질향상을 위한 혁신활동을 본격화한 회사는 불량률을 10% 이상 절감하고 생산성을 15% 향상하는 성과를 거뒀다. 원가절감은 10% 이상, 장비가동률은 75% 수준으로 개선됐다. 이에 매출은 15% 이상, 수출비중은 10% 향상하는 실적을 냈다.

이렇듯 고도화된 첨단기술을 생산공정과 결합하는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저성장 기조와 대내외 환경변화로 인해 어려움에 처한 중소 제조기업의 혁신을 위해 정부가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지원 프로그램과 예산 마련에 분주히 움직이고 있기 때문이다.

스마트공장은 IT, 소프트웨어(SW), 3D프린팅 등 첨단 제조기술을 생산현장에 맞춤형으로 결합해 생산 전반의 효율을 극대화한 공장을 의미한다. 산업통상자원부를 중심으로 한 관계 부처는 지난해 6월 발표한 제조업 혁신 3.0 전략의 핵심 추진과제로 스마트공장 확산·보급을 추진해왔다.

산업부는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중심으로 대기업과 협력해 오는 2020년까지 1만개 구축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삼성전자가 내년부터 이듬해까지 150억원을 투자하고 200여명의 기술전문가를 현장에 배치하는 등 스마트공장 구축사업은 향후 대기업의 참여로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스마트공장 추진단에 제조 전문인력을 파견하고 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에 ‘스마트공장 아카데미’를 설립할 예정이다. 전국 각지의 사업장과 인력을 활용해 스마트공장 솔루션, 공정 시뮬레이션, 자동화 컨설팅 등 기술과 노하우도 제공할 계획이다.

   
▲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 외에도 현대자동차, LG전자, SK텔레콤, 제일모직, 포스코, 두산, LS산전, 효성 등도 2·3차 협력사 등 350개 중소기업에 업종 특성을 고려한 스마트공장 모델 구축을 지원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향후 표준과 인증, 기술개발 등 스마트공장 육성 기반을 조성하고 미래부 등 정부 부처간 유사 사업을 통합 관리해 사업의 효율성을 높일 예정이다. 특히 내수기업의 수출기업화 사업을 스마트공장 구축 기업에 연계 지원해 스마트공장 구축 성과를 바탕으로 해외시장까지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중소기업들 역시 스마트공장을 통해 생산성 향상을 꾀할 수 있는 만큼,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확대에 기대를 거는 모습이다. 일부 기업의 경우 자체적으로 추가 투자를 통해 시스템 업그레이드, 설비 추가 등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계획 중이다.

현재 정부의 스마트공장 프로젝트는 엔저 피해 업종, 노후산단 소재 기업을 중심으로 올 하반기 900개사 이상에 보급돼 총 1200여개 곳에 달할 전망이다. 품질예측과 공정 최적화, SW 통합운영, 개방형 산업 사물인터넷(IoT) 플랫폼 등 기술개발과 기술개발 전략을 담은 ‘스마트공장 R&D 로드맵’을 통해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을 활성화한다는 계획이다.

산업부는 이르면 오는 11월 스마트공장 인증 평가모델 개발·추진해 인증제의 활용도, 실효성 확보를 위해 대기업 자체 인증제와 상호 인정을 추진할 방침이다. 시범인증 사업 운영 후에는 인증모델을 개선·보완해 인증 기준의 KS 규격화와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산업부는 “우리 제조업 생태계 스마트화를 위해 2020년까지 1만개 스마트공장 보급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삼성 이외의 다른 대기업의 참여도 적극 유도하는 등 지속적인 노력을 해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