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고이란기자] “마른하늘에서 날벼락 친 것인가, 땅에서 솟았나, 이 상황에 다 모른다고 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까?”

21일 국회 정무위원회 한국산업은행 국정감사가 여의도 산업은행에서 열린 가운데 유의동 새누리당 의원이 대우조선해양의 3조 손실에 대해 아무도 책임을 인정하지 않자 이같이 지적했다.

   
▲ 국회 정무위원회의 한국산업은행, 기업은행, 예금보험공사 국정감사가 21일 서울 여의도 한국산업은행에서 열려 증인으로 출석한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대표이사(앞줄 오른쪽)와 남상태 前 대표이사 등 대우해양조선 전현직 임원들이 증인선서를 하고 있다. /사진= 홍정수 기자
이날 산업은행 국감에는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CEO)과 김열중 대우조선해양 최고재무책임자(CFO)를 비롯해 고재호·남상태 전 사장, 김유훈·김갑중 전 CFO 등 전직 임원들과 대우조선해양 회계 감사를 담당한 딜로이트안진 회계법인의 임명섭 상무가 증인으로 출석했다.

여·야 의원들은 대우조선해양 대규모 부실사태와 관련해 집중추궁을 이어갔고 증인들은 이와 관련해 책임인정 보다는 변론으로 맞받아쳤다.

특히 대우조선해양이 올해 상반기 영업손실 3조2000억원, 당기순손실 2조6000억원 등의 대규모 손실의 원인과 책임소재를 분명히 해야 한다며 여야의원들은 목소리를 높였다.

가장 우선적으로 대규모 부실 발생의 원인을 찾고 부실한 회계가 작성된 책임소재를 따져물었다. 이에 국감에 출석한 증인들은 해양플랜트의 손익을 예측하기 어렵다는 이유를 내세웠다.

홍기택 산업은행 회장은 “대규모 손실 사태는 조선사들이 잘 알지 못하는 해양프로젝트 부분이며 인도 시점이 가까워져야 예정원가를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인지하고 있다”고 답했다.

고재호 대우조선해양 전 사장은 삼성중공업과 현대중공업이 먼저 손실을 털어낸 것에 대해 “해양플랜트 계약 구조의 복잡성과 각 회사의 제품구성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일반화하기 어렵고 본격적으로 해양플랜트를 수주한 시점이 타사보다 늦어 손익 파악 시점이 늦어졌다”고 설명했다.

임명섭 딜로이트안진 회계법인 상무는 “대우조선해양 사태는 사실 과거의 부실이라기보다는 올해 발생한 예정원가 증가, 유가하락 등 진행기준 특성상 발생한 손실과 미래 손실 선반영의 사항이 담겼다”며 “많은 분들이 짧은 기간에 손실이 발생한 것에 의아해하지만 현대중공업이 지난해 대규모 손실을 반영했듯이 진행기준 특성상 짧은 기간에도 손실이 발생하는 것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김갑중 전 대우조선해양 CFO는 “부실에 대해 알지 못했으며 모든 것을 보고 받는 것은 힘들다”라면서 “그 점에 대해 역량이 부족했다”고 일관했다.

강기정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누구하나 책임지지 않는 대우조선해양 사태는 금융당국과 정부가 특별감사를 통해 의혹을 밝히고 법률적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했다.

아울러 여·야 의원들은 정상적인 경영자라면 사태를 먼저 정확하게 파악하고 무능을 고백하고 사죄하며 국민이 납득할 수 있게 책임져야한다고 입을 모았다. 

또한 대우조선해양의 향후 유동성 부족문제 해결에 대한 과제도 거론됐다.

박병석 의원은 "현재 금융채무만 21조원이 넘고 이중 국내 은행의 차입금만 16조원"이라며 "국내은행 중 수출입은행과 산업은행의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정책금융기관의 건전성 문제와도 직결된 문제"라고 지적했다.

2015년 7월말 기준으로 16조원의 국내은행 차입금 중 수출입은행은 54%인 8조7676억원, 산업은행은 16.7%인 2조6359억원을 차지하고 있다.

박 의원은 "대우조선해양은 자산매각과 임원감축 등 뼈를 깎는 구조조정을 통해 정상적인 기업으로 환골탈태해야 하며 그 과정에서 노조도 적극 협력하는 자세를 보여야 할 것"이라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