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SK하이닉스 영향 촉각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미국 주무 장관이 미국에 투자하는 반도체 업체들에 투자 규모의 4% 이하를 제공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말한 것으로 5일(현지시간) 확인됐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에 투자하는 반도체 업체들에 제공키로 한 보조금에 대한 재협상을 진행 중이다.

미국 상원 세출위원회가 전날 개최한 청문회 영상에 따르면 증인으로 출석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투자액의)4% 이하를 약정하는 것이 10%를 제공하는 것보다 더 적절하다고 생각한다"면서 10%는 "지나치게 관대하다"고 말했다.

러트닉 장관은 대만 TSMC의 사례를 거론하면서 4%라는 수치를 거론했다.

그는 TSMC가 당초 미국에 65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하기로 하고, 약 60억 달러(실제로는 66억 달러)의 보조금을 받기로 했으나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TSMC가 1000억 달러를 더 투자하기로 했다고 소개했다.

   
▲ 삼성전자 서초사옥 전경./사진=미디어펜DB


당초 TSMC가 미국 반도체법에 의거해 받기로 한 보조금은 투자액의 10% 선이었으나 투자액을 대폭 늘리기로 하면서 투자액 대비 보조금 비율이 약 4% 수준으로 내려가게 됐는데 그 정도가 적정한 수준이라는 취지다.

이에 따라 트럼프 행정부와 한국 반도체 기업간의 보조금 관련 재협상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국 기업의 경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대미투자액의 10%대에 이르는 보조금을 받기로 조 바이든 전 대통령 시절 미국 정부와 계약을 체결했다.

바이든 전 대통령이 2022년 서명한 반도체법은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반도체 공급망 위기를 겪은 미국이 자국 내 반도체 생산 설비를 회복할 필요를 느끼면서 입법이 추진됐다.

이 법은 업체들의 미국 내 설비투자 규모와 연동해 책정한 보조금을 통해 미국 및 제3국 반도체 기업들의 대미 투자를 유도하겠다는 취지였으며, 지원 규모는 5년간 총 527억 달러(약 72조원)다.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