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보라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취약계층에 대한 중금리대출 전문 인터넷은행 설립을 공약으로 내놓은 가운데 저축은행업권은 새로운 경쟁자 등장 가능성에 긴장하고 있다. 또 기존 인터넷은행의 중저신용자 의무대출 비중 상향조정 공약에 대해서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다만 금리 구간이 달라 고객층이 겹치지 않으면서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중금리대출은 신용점수 하위 50%를 대상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로 제공되는 상품으로 저축은행에서 주로 취급하고 있다. 금융 사각지대에 있는 중·저신용자들의 주요 자금 조달 창구 기능을 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지난 3월 제4인터넷전문은행(제4인뱅) 예비인가 신청서를 낸 △소소뱅크 △포도뱅크 △한국소호은행 △AMZ뱅크 컨소시엄의 법령상 요건 충족 여부 등을 검토 중이다. 이후 외부평가위원회의 심사와 금융위 정례회의를 거쳐 최종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금융위원회는 당초 6월 중 예비인가 사업자 선정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었으나 조기 대선 및 정권 교체 시기가 맞물리며 심사가 지연될 가능성이 제기돼 왔다.

그러나 이재명 대통령의 소상공인 금융 지원 의지가 반영되면서 제4인뱅 심사 절차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한편 그간 건전성 및 연체율 관리에 집중하면서 대출 영업에 소극적이던 저축은행들은 최근 부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산이 정리되면서 중금리대출을 확대하고 있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저축은행업권의 민간중금리 신용대출(사잇돌2 대출 제외) 취급액은 2조6577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1조8318억원) 대비 45.1% 증가한 규모다.

취급건수도 크게 늘었다. 지난해 1분기 민간중금리 신용대출 취급건수는 11만351건에서 올해 1분기 17만5549건으로 59.1% 증가했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서는 제4인뱅 등장으로 고객군이 겹치면서 저축은행이 금리 경쟁력에서 밀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인터넷은행이 취급하는 중금리대출의 금리상한은 최고 8.5%다. 반면 2금융권은 이보다 조금씩 더 높은데 저축은행의 경우 중금리대출 금리가 17.5%를 넘겨선 안 된다. 금융당국은 이 최고 기준 안에서 매해 반기마다 업권별 세세한 금리상한을 결정한다.

금융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업권별 민간 중금리대출 금리 상한은 △인터넷은행 8.16% △상호금융 9.91% △카드 12.39% △캐피탈 15.50% △저축은행 17.14% 등이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일부 우량 중저신용자가 인터넷은행으로 갈 수도 있겠지만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며 “인터넷은행과 저축은행은 고객군 자체가 다르다”고 말했다.

이어 “중금리대출의 경우 중저신용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없으면 하기가 어려운 사업이다. 시중은행에서도 중금리대출에 뛰어들었다가 철수한 적이 있는데 중저신용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없었기 때문”이라며 “새로운 인터넷은행이 중금리대출 시장에 안착하기에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