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없는 여야 예비후보에 ‘경선비용’ 큰 장벽
2016-02-21 15:41:34 | 김규태 차장 | suslater53@gmail.com
경선 선거비용 보전 받지 못해…4500만원까지 들 수도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결선투표까지 갈 경우 여론조사에만 4500만원까지 들 수 있는 경선 구조로 인해 돈 없는 여야 예비후보에게 경선비용이 큰 장벽으로 다가오고 있다.
안심번호 제공부터 여론조사 경선까지 들어가는 막대한 비용을 모두 예비후보의 자비로 마련해야 하기 때문이다.
경선 이후 예비 딱지를 떼고 지역구 국회의원 후보자로서 본선 경쟁에서 사용한 비용은 선거에서 일정 비율 이상을 득표하여 보전 받을 수 있지만, 당내 경선 등에 사용한 비용은 보전 받을 수 없다.
새누리당, 더민주 등 여야가 안심번호를 이용한 국민경선 방식으로 20대 총선 후보자를 선정하기로 하면서 예비후보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사로부터 여론조사 경선에 필요한 안심번호를 추출 받는 데부터 돈이 들어간다.
현재 이통사가 제시한 안심번호 1개당 비용은 330원선이다. 새누리당의 경우 500명에서 1000명 사이로 고려되고 있는데, 여론조사 응답률 저하 실정 등을 고려하면 최대 1500만 원이 소요되며 문항수가 늘면 조사비용은 더욱 증가한다.
결선까지 치르게 되면 경선 여론조사에만 4000만 원이 소요된다. 더민주의 경우 경선 여론조사 비용은 4500만 원까지 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 |
||
▲ 결선투표까지 갈 경우 여론조사에만 4500만원까지 들 수 있는 경선 구조로 인해 돈 없는 여야 예비후보에게 경선비용이 큰 장벽으로 다가오고 있다./사진=미디어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