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금융권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체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증권사 부동산 PF 연체율이 17%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부동산 경기가 일부 회복되고 PF 대주단 협약을 통한 부실 사업장 정상화 작업이 추진되면서 연체율 상승 속도는 줄었다.

   
▲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12일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의 주재로 기재부·국토부·한국은행·금융지주·정책금융기관과 함께 부동산 PF 사업정상화 추진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했다./사진=금융위 제공.


금융위원회는 12일 김소영 부위원장 주제로 '부동산PF 사업 정상화 추진상황 점검회의' 개최하고 이같이 밝혔다.

6월말 기준 금융권의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2.17%로 지난 3월 말(2.01%) 대비 0.16%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말(1.19%)과 비교하면 0.98%포인트 올랐다.

금융위는 "고금리 상황 지속과 공사원가 및 안전비용 상승 요인 등으로 부동산 PF 시장 불안요인이 상존하는 만큼 지속적인 관찰과 관리가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면서 "대주단·시행사·시공사 등 PF 사업장 이해관계인들이 우선적으로 노력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는데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설명했다.

부동산 PF대출 연체율은 여신전문을 제외한 모든 업권에서 상승했다. 증권사의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지난 3월 말 기준 15.88%에서 6월 말 17.28%로 1.40%포인트 올랐다. 은행권은 3월 말 0%에서 같은 기간 0.23%로 증가했다. 보험의 경우 0.07%p(0.66%→0.73%), 저축은행은 0.54%p(4.07%→4.61%). 상호금융은 1.03%p(0.10%→1.12%) 올랐다.

금융당국과 금융권이 마련한 PF 대주단 협약 적용을 받는 부실·부실 우려 사업장은 모두 187곳으로 집계됐다. 이 중 152곳에 대해 기한이익 부활, 신규 자금 지원, 이자 유예, 만기연장 등 정상화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나머지 사업장들은 공동관리가 부결(23곳)되거나 경·공매 등을 통한 사업장 정리가 진행됐다.

사업 진행단계별로는 브릿지론이 144개로 전체 협약 중 77.0%를 차지했다. 본PF 대비 이해관계자 간 조정 필요성이 큰 브릿지론에 대주단 협약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84곳(경기 44곳, 서울 24곳, 인천 16곳), 지방 103곳에 협약이 적용됐다.용도별로는 주거시설(114곳)뿐만 아니라 상업시설, 산업시설, 업무시설, 기타 시설, 숙박시설 등 다양한 사업장에 적용됐다.

김소영 부위원장은 "부동산 PF 사업장의 재구조화를 통한 사업성 제고와 이를 전제로 한 신규자금 투입이 현재 부동산 PF 시장의 정상화와 원활한 주택공급에 핵심적인 부분"이라며 "PF 사업장 정상화 지원펀드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추가방안을 관계부처 기관 및 금융업권과 긴밀히 협의해 이달 말 정부합동 주택공급확대 관련 대책에 포함해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