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뉴욕 현지서 "압도적 힘으로 구축하는 평화가 진정한 평화"
"노무현 정부 1차 핵실험, 문재인 정부 때 핵 미사일 개발 가속화"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대통령실은 19일(현지시간) 문재인 전 대통령이 9.19 평양공동선언 5주년 기념행사에서 '진보 정부에서 안보 성적도, 경제 성적도 월등히 좋았다'고 발언한 것에 대해 "굴종적으로, 겉으로 보이는 한산한, 평화로운 상황이 평화가 아니다"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미국 뉴욕 현지에 마련된 프레스센터에서 기자들을 만나 "압도적인 힘에 의해 구축하는 평화가 진정한 평화"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관계자는 기자들에게 "김대중 정부 때 서해교전에서 싸워 이긴 장병들을 옷을 벗기고 퇴진시킨 어이없는 일도 발생했고, 노무현 정부 때 1차 핵실험이 발생했으며, 문재인 정부 때 핵과 미사일 개발이 가속화됐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객관적으로 국민이 느끼기에, '어떤 것이 믿음직스럽고 활력 있는 평화이냐'에서 판단 기준이 나올 것"이라고 강조하고 나섰다.

   
▲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사진=대통령실 제공


또한 이 관계자는 문재인 정권에서 북한과 맺은 9.19 군사합의의 효력 정지 가능성에 대해서도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에도 북한이 공공연히 합의를 어겨오고 있고, 의도적으로 도발해오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현시점에서는 군사합의가 내포한 여러 문제점을 직시하고 관찰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특히 북한에게 절대적으로 불리한 감시 정찰 자산, 그리고 공군·해군력의 가동과 평상시 훈련에 대해 비정상적으로 한국의 행동을 위축시켜 놓은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 합의를 잘 지켜도 북한은 없는 자산을 가동하지 않는 것이고, 우리는 열심히 해오던 것을 중단하는 것이어서 문제가 크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북한이 어떤 행동을 해올지 관찰하고, 나중에 적절한 시점에 필요하다면 (9.19 군사합의 효력 정지 여부를) 판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