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차원의 관리·감독 '구멍' 도마 오를 가능성
[미디어펜=신진주 기자]대우조선해양의 경영 비리를 수사하는 검찰 부패범죄특별수사단(단장 김기동 검사장)이 대우조선해양 현직 최고재무책임자인 김열중 부사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전격 소환했다.

5일 검찰은 대우조선이 남상태·고재호 전 사장의 재임 기간뿐 아니라 정성립 사장이 부임한 이후로도 회계조작을 벌인 혐의를 포착하고 김열중 부사장을 소환했다.

검찰에 따르면 대우조선은 지난해 영업손실 규모를 1200억원가량 축소 조작한 사실이 수사 과정에서 드러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자본잠식률 50%를 넘어설 경우 관리종목으로 지정되는 만큼 채권단으로 계속 지원을 받기 위해 대우조선 현 경영진이 영업손실 규모를 축소한 것으로 보고 있다.

대우조선 재무분야 실무자도 영업손실 축소 사실을 시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와의 단절'을 선언했던 대우조선 현 경영진도 대규모 회계비리를 벌인 단서가 드러남에 따라 파장이 증폭되고 있다. 

빅배스를 단행한 대우조선이 스스로 투명경영을 천명하고 정부와 금융 당국도 회사 경영 상황을 면밀하게 관리·감독했던 것으로 여겨졌지만 이를 뒤집는 수사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 경영진의 회계조작이 사업보고서를 작성한 올해 3월까지 이어졌다고 볼 때, 국민의 혈세가 투입된 대우조선의 구조조정과 경영정상화에 관여한 정부와 산업은행의 관리·감독 부실이 도마에 오를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검찰은 필요에 따라 대우조선 구조조정과 관련을 맺는 채권단과 금융당국, 정부기관에 대한 조사도 벌일 것으로 관측된다. 
[미디어펜=신진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