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태우 기자]현대자동차 노사가 올해 임금협상에 잠정합안을 도출했다.

이번 임단협의 가장 큰 쟁점이었던 임금피크제 확대안은 노조가 끝내 수용하지 않아 빼놓은 잠정협의안 이였다. 이에 현대차 노사의 임금피크제 확대안은 차후 협의로 미뤄졌다. 임금피크제 도입을 통해 청년실업문제를 해결해보기 위한 사측의 노력이 무산된 것이다.

   
▲ 현대자동차 노사는 24일 울산공장 본관 아반떼룸에서 열린 20차 임협에서 임금 인상을 포함한 잠정합의안을 마련했다./미디어펜


현대자동차 노사는 24일 울산공장 본관 아반떼룸에서 열린 20차 임협에서 임금 인상을 포함한 잠정합의안을 마련했다.

노사는 임금 5만8000원 인상, 성과급 및 격려금 350%+330만원, 재래시장 상품권 20만원, 주식 10주를 각각 지급키로 합의했다.

회사는 해외 신흥국 시장 경기침체와 내수시장 점유율 하락, 영업이익 축소 등 어려워진 경영여건을 감안해 이 같은 임금안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최대 쟁점이었던 임금피크제 확대안은 협상 교착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결국 합의 없이 넘어갔다. 회사는 추후 다시 논의키로 했다고 밝혔다.

현대차에서는 현재 만 59세 임금 동결, 만 60세 10% 삭감하는 임금피크제를 시행 중이다.

이 부분 때문에 현대차 노조가 임금피크제 확대적용안에 반기를 드는 부분이었다. 

하지만 현재 현대차의 임금은 글로벌 유수의 업체들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현대차에 따르면 2004년 4900만원이던 직원 평균연봉은 10년이 지난 2014년 9700만원으로 두 배나 올랐다.

독일 폭스바겐(9062만원)이나 일본 도요타(8351만원) 보다도 높은 수준이지만 생산효율성 면에서는 크게 뒤처지고 있다.

현대·기아차가 운영중인 중국 미국 공장 근로자들의 생산성에 비해 절반수준에 불과하다. 근로자 1인당 생산대수는 체코공장의 50%에 불과하다. 자동차 한 대를 만드는 데 들어가는 시간은 26.8시간으로 미국공장(14.7), 중국공장(·17.7)에 비해 크게 뒤진다. 

근로자들은 임금은 세계 최고로 받으면서 생산성은 꼴찌수준에서 허덕이고 있다. 이 때문에 임단협 때마다 임금인상 억제 필요성이 안팎에서 제기되고 있지만 이런 상황을 묵시하며 노조는 임금인상과 근로조건 상향조정만을 목소리 높이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도 임금피크제 확대 적용을 통해 새로운 분위기 쇄신이 요구되고 있는 부분이지만 이를 애초에 거부하고 있는 게 노조측의 입장이다.

노조의 이런 무리한 요구에도 사측은 미래 임금 경쟁력을 확보하고 통상임금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임금체계 및 통상임금 개선위원회를 통해 임금체계 개선에 대한 구체적 시행방안을 논의하고 내년부터 적용하기로 했다.

   
▲ 정몽구 회장이 현대차 체코공장을 방문해 생산되고 있는 제품의 품질을 점검하고 있다./현대자동차


반면 회사 측은 노조가 요구한 승진거부권, 일부 직군 자동승진제, 해고자 2명 복직 등 인사·경영권과 관련된 요구안에 대해 '수용 불가' 원칙을 지켰다.

이와 관련해 현대차 관계자는 "파업이 장기화함에 따라 부품업체와 지역경제 등 피해가 확산하는 것을 막기 위해 노사가 양보를 통해 어렵게 잠정합의안을 마련했다"며 "생산을 정상화해 최고 품질의 자동차를 고객들에게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노조는 올해 임협 과정에서 7월 19일부터 나흘 연속 부분파업을 벌인 데 이어 여름 휴가 직후부터 매주 3차례 파업하는 등 모두 14차례 파업했다.

회사는 이날까지 노조 파업으로 6만5500여 대, 1조4700억원의 생산차질이 발생한 것으로 추산했다.

노조는 26일 잠정합의안 찬반투표를 벌이기로 했다.

한편 이번 노사의 잠정합의안을 통해 현대차 노동자들은 임금을 제외하고 성과급과 격려금만 따져도 평균 1000만원 이상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다 주당 13만원 상당에 이르는 주식과 상품권까지 더해졌고 임금 인상분까지 있어 근로자들이 받을 돈은 더 늘어나게 됐고 회사의 부담은 더 커졌다.

이와 관련해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수준으로 따져봐도 업계 최고의 대우를 받고 있는 현대차 노조가 임금인상을 요구하는 것은 권리주장이라고 보다 욕심에 가깝다”며 “임금인상분 만큼의 생산성 개선도 반드시 수반돼야 할 것이다”고 지적했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다른기사보기